✍️ DOM 접근의 기본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항상 쓰던 것만 썼어서, 정리하면서 처음 보는 것도 있었다. (살짝 반성한다.🙇) 기초를 차근차근 다진다는 마음으로 정리해 보았다.
✍️ import로 불러오는 방법이 참 다양한데, 한번 정리를 해보면 좋을 것 같아 export 와 함께 정리 해보았다.
✍️ 에러 핸들링은 항상 고민이 많이 되는 부분인 것 같다. 분기 처리 할 때 필요한 에러 객체에 관한 내용과, 커스텀 에러를 통한 활용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 prototype에 대해 공부하다가, prtototype 과 __proto__의 차이가 궁금하여 정리하여 보았다.
✍️ 이번 에러는 해결까지 정말 오래 걸렸다. 약 2주간을 끙끙 앓았다. passport 사용 시 쿠키의 흐름에 대해 몇 번을 찾아보고, 생각해보고 수정 해도, 코드의 문제는 없는 것 같은데 도대체 왜 안 될까? 자다 가도 생각 나고, 며칠을 괴롭히는 에러였다.
✍️ setTimeout, setInterval 공부하다가 재귀 호출에 관한 부분이 흥미로워 글로 정리해보았다. 더불어 setInterval을 이용한 스톱워치도 구현해 보았다.
✍️ 프론트 개발자 면접 질문에 많이 나온다는 클로저를 정리 해보았다. 숨 쉬듯이 많이 쓰는 패턴인데, 막상 말로 설명하려니 입이 안 떨어지기에 글로 정리해 보았다.
✍️ 함수의 호출과 스택에 관한 글을 보다가 linked list에 알게 되었다. javascript로 구현이 가능한 자료 구조 이며, 배열 과는 다른 이점이 언젠가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 같아 정리 해 보았다.
✍️ 처음에 HYDRATE 라는 개념을 몰랐어서, 어디서부터 잘 못 됬는지도 모르겠고, 막막했었는데 “단서” 의 포스팅을 만나 실마리를 얻을 수 있었다. 글쓴이에게 감사한다. 🙏
✍️ 자료 구조 공부하다가 새롭게 알게 된 자료 구조가 있어 정리 해 보았다. 주로 객체와 배열을 많이 사용하는데, Map, Set도 상황에 따라 잘 사용 하면 훨씬 더 효율적인 코딩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 이제는 SEO 는 웹사이트 제작 시 필수이다. 에이전시 회사 다녔을 때 정말 중요 하게 확인하던 부분 중 하나였다. 그 때 경험을 기반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을 추려 보았다.
✍️ 면접 때 class 함수에 관한 질문을 받았었다. 객체지향형 프로그래밍 하면 class기반이 대표적이다. (Java, C++, C#, Python, PHP, Ruby, Object-C) 반면에 javascript는prototype 기반이다.(생성자 함수)
✍️ 배열 메서드들 정말 자주 쓰는데, 매번 인자 헷갈려서 찾아보는 것이 번거로워 이번 기회에 정리해 보았다. 추가로 몰랐었던 특징들도 같이 정리 해 보았다.
✍️ 면접에서 자료구조에 관한 질문을 받았었는데, 잘 대답하지 못하였다. 배열 참 많이 쓰는데, 이 배열로 자료구조를 표현할 수 있다고 한다. 자료구조를 왜 알아야 하는지, 그리고 배열로 자료구조를 어떻게 표현 하는지에 대해 정리 하였다.
✍️ 면접에서 map과 reduce의 차이가 무엇이냐고 물어 보는 질문에 제대로 답하지 못하였다. 면접 이후 찾아보았는데, reduce 정말 강력한 기능을 가진 함수였다. 사용 패턴을 찾아보았는데 map과 reduce 앞으로 더 많이 유용하게 쓸 것 같다.
✍️ class component 의 life cycle 함수의 종류가 여럿 있지만 그 중에서 자주 사용하는 것만 정리하였다. 함수가 실행되는 시점과, 동일한 내용의 hooks 의 useEffect 도 같이 정리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