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효기간을 넣어야 브라우저를 닫아도 날라가지 않음
document.cookie = 'language=javascript; expires=Wed, 18 Aug 2021 02:13:37 GMT';
const date = new Date();
date.setDate(date.getDate() + 1);
document.cookie = `user_name=jonghyeon; expires=${date.toGMTString()}`;
생성시점 기준으로 유효기간 설정 가능 (단위는 1초. 3600의 경우 1시간)
document.cookie = 'user=jonghyeon; max-age=3600';
const cookies = document.cookie;
// 각 쿠키는 ;로 구분되어 있어 불러온 후 split 등으로 쪼개서 써야 합니다.
cookies.split(';');
값을 저장하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 window 생략 가능
window.localStorage.name = 'jonghyeon';
window.localStorage['name'] = 'jonghyeon';
window.localStorage.setItem('name', 'jonghyeon'); // *** 이 방법이 권장됩니다.
property를 수정하는 식으로 하면 객체 내부의 length, toString 같은 내장 함수들을 덮어 씌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const storedName = localStorage.getItem('name');
localStorage.removeItem('name');
// d. 전체 삭제하기
localStorage.clear();
localStorage에는 string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JSON.stringify로 넣고 JSON.parse로 꺼낸 값을 파싱해서 쓰는 것이 좋습니다.
const user = {
name: 'jonghyeon',
position: 'drummer',
songs: ['say that you', 'we wanna party'],
};
// 저장
localStorage.setItem('user', JSON.stringify(user));
// 불러오기
const storedName = JSON.parse(localStorage.getItem('n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