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1_파이썬소개 및 설치
02_처음 만들어 보는 프로그램
03_프로그램 실행 과정
- 컴파일 언어는 소스 전체를 실행 파일로 만든 후 기계에서 실행 -> 번역 (C, C++, java)
- 인터프린터 언어는 필요한 소스만 그때그때 실행 -> 동시 통역 (python)
04_PyCharm 설치
05_데이터와 메모리 그리고 데이터 출력
- 데이터: 숫자, 문자, 영상, 이미지 -(수집/가공)-> 정보
- 메모리: 데이터를 저장
- 실행: PC에서 실행
06_변수
-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공간
- 변수 선언 및 초기화: 변수명은 개발자가 마음대로 사용 가능함
ex) number(변수 선언) = 10(변수초깃값)
07_변수를 사용하는 이유
- 데이터 재사용 목적
- 코드에서 변수에 있는 내용만 효율적으로 관리 가능
08_변수명은 이렇게 하세요
- 영문 사용 (한글도 실행은 되지만 권장되지 않음)
- 첫번째는 소문자로(class명의 경우 첫번째 대문자)
- 데이터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명사 사용
- 카멜표기법: 첫문자는 소문자로 두번째 나오는 단어부터는 대문자 (userInputData)
- 스네이크표기법: (user_input_data)
- 예약어 사용 금지 (파이썬에서 이미 사용하는 keyword)
- 특수문자 사용금지 (언더바는 사용 가능)
- 공백문자 사용금지 (앞이나 중간에 공백이 있으면 안됨)
- 첫번째 자리 숫자 사용금지
09_자료형
-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을 위해 데이터는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 논리형으로 구분
- 정수 int: 메모리가 허용되는 한 무한 사용
- 실수 float: 소수점 이하 17~18번째에서 데이터 손실 발생(왜곡)
- 문자(열) str: 따옴표로 묶인것, 숫자도 묶으면 문자열로 인식함
- 논리형 bool: True/False를 구분
10_자료형 변환(문자)
- 정수/실수 -> 문자열
- 논리형 -> 문자열
-> str 함수 이용
11_자료형 변환(숫자)
- 문자열/논리형 -> 정수 (int 함수 이용)
- 문자열/논리형 -> 실수 (float 함수 이용)
12_자료형 변환(그외 데이터)
- 빈문자: 데이터 X, 논리형 형 변환 시 False
- 공백문자: 공백 데이터 있음, 논리형 형 변환 시 True
- 데이터 유무에 따라 True/False 결정
13_데이터 입력
- input() 함수를 이용해서 데이터 입력
- input 함수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는 항상 문자(열) 자료형
14_데이터 출력
- print() 함수를 이용해서 출력
- 콤마(,)를 이용해서 데이터 연속 출력
- 포멧 문자열을 이용한 데이터 출력 (print(f'Username: {username}')
15_format()와 형식문자
- format() 함수를 이용한 데이터 출력
ex) print('Username:{}'.format(userName))
- format()함수의 인덱스를 이용한 출력
- 형식 문자를 이요한 데이터 출력 (%s -> 문자열, %d -> 정수, %f -> 실수)
16_산술 연산자(덧셈, 뺄셈)
- 산술: +, -, , /, %, //, **
- 할당: =, +=, -=, =, /=, %=, //=
- 비교: >, >=, <, <=, ==, !=
- 논리: and, or, not
- 정수와 문자는 결합불가
- 문자열을 이요한 뺄셈은 불가
17_산술 연산자(곱셈, 나눗셈)
- 0을 나누면 결과는 항상 0
- 0으로 나눌 수 없음
- 나눗셈 결과는 항상 float
18_산술 연산자(나머지와 몫)
- divmod() 함수
ex)
result = divmod(num1, num2)
print('result:{}'.format(result))
print('몫:{}'.format(result[0]))
print('나머지:{}'.format(result[1]))
19_산술연산자(거듭제곱)
- 거듭제곱 연산자
- n의 m제곱근 n(1/m)
- sqrt()함수: 제곱근 구하기
- pow()함수: 거듭제곱 구하기
20_복합연산자
- 할당(대입) 연산자: 오른쪽의 값을 왼쪽에 할당 (num1 = 10)
- 복합 연산자
+= : 덧셈 연산 후 할당
-= : 뺄셈 연산 후 할당
*= : 곱셈 연산 후 할당
/= : 나눗셈 연산 후 할당
%= : 나머지 연산 후 할당
//= : 몫 연산 후 할당
**= : 거듭제곱 연산 후 할당
21_비교연산자(숫자 비교)
- 모든 연산 결과는 True/False
- >, >=, <, <=, ==, !=
22_비교연산자(문자 비교)
- 문자는 각 문자마다 정해진 숫자가 있음 (아스키코드 숫자)
- 문자 -> 아스키 코드 ord('A')
- 아스키 코드 -> 문자 chr(65)
- 문자열 비교: 문자열 자체 비교 (==, !=)
크고 작음은 비교 불가
23_논리연산자
- 피연산자의 논리(True/False)를 이용한 연산
- and: 모두 T 일때 T
- or: 하나라도 T이면 T
- not: 해당 상태를 부정
24_operator모듈
- 누군가 이미 만들어둔 기능
- import를 이용해서 사용 가능 (import operator)
25_조건식
- 어떤 조건에 따라 실행이 분기되는 식
- A if 조건식 else B -> 조건식의 결과가 True이면 A 실행, 그렇지 않으면 B 실행
26_조건식(if문)
- 특정 조건에 따라 프로그램을 분기
- if문
if 조건식:
실행문
27_양자택일 조건문(if~else문)
- 조건식 결과에 따라 둘 중 하나가 실행 됨
- pass: 추후에 code를 작성하기 위해 사용
28_if~else문과 조건식
- 조건식의 두가지 사용법: 조건식 결과에 따른 실행 / 조건식 결과를 변수에 할당
- 모든 조건식은 if~else 문으로 바꿀 수 있음
- 모든 if~else 문을 조건식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은 아님
29_다자택일 조건문(if~elif문)
- 여러가지 조건식 결과에 따라 실행문 결정
30_다자택일 조건문 사용 시 주의할 점
- 조건식 순서가 중요함
- 조건 범위를 명시 해야 함
31_중첩 조건문
- 조건문 안에 또 다른 조건문
32_반복문
- 특정 실행을 반복하는 것
- 프로그래밍이 간결해지고 유지보수가 쉬움
- 종류: 횟수/조건에 의한 반복
33_횟수에 의한 반복(for문)
- 정해놓은 반복 획수에 따라 반복 실행
34_반복 범위 설정(range()함수)
- for i in range(1, 11, 1) : 1부터 10까지 1씩 증가
35_조건에 의한 반복(while문)
- 조건에 만족하면 반복실행, 그렇지 않으면 반복 중단
- 조건식이 항상 True일 경우 무한루프에 빠질 수 있음
36_for문과 while문 비교
- for문이 적합한 경우: 횟수에 의한 반복인 경우
- while문이 적합한 경우: 조건에 의한 반복인 경우
37_무한루프
- 반복문을 빠져나올 수 없는 경우 (while문에서 조건식의 결과가 항상 True)
- 조건식에 논리형 데이터를 사용해서 무한 반복 실행 가능
38_반복문 제어(continue)
- 반복 실행 중 continue를 만나면 실행을 생략하고, 다음 반복 실행문으로 넘어감
- else 실행문은 반복문이 종료된 후 실행
39_반복문 제어(break)
- 반복 실행 중 break를 만나면 반복문을 빠져나옴
40_중첩 반복문
- 반복문 안에 또 다른 반복문 선언
- 반복안에 반복이 있는 구조
for i in range(1, 10):
for j in range(i_:
print('*', end='')
print()
이 글은 제로베이스 데이터 취업 스쿨의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