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를 위한 확률과 통계" 책과 스터디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함수의 아랫면적의 합이 1이 됩니다.
= 1
특정 구간의 면적인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 P(a )
연속된 값들이기에 어떤 값의 분포가 높은지 알기 어렵습니다.
항상 을 만족합니다.
작은 구간폭을 기준으로 각 확률밀도를 산정하여 합한 값을 구합니다.
모든 결합확률분포는 0보다 크거나 같은 값을 가집니다. (면적을 계산하기 때문에)
결합확률 영역의 면적을 구하기 위해 미분 시 두 번의 미분을 진행해야 합니다.
이 때 다음의 조건을 만족합니다.
= =
또한 모든 범위의 이중 적분 역시 1의 값을 가집니다.
,
a값에서 y의 범위를 가지는 함수
- , = 1
- a 조건에서 y범위를 가지는 분포
- 사후확률:
- 사전확률:
- 유도
=
=
=
기댓값
- 이산확률 변수와 유사한 진행과정이며 확률값*발생횟수를 통헤 기댓값을 구합니다.
분산
V[X] = E[(X-u)^{2}]
표준편차
=
표준 정규분포와 일반정규 분포는 평균을 중심으로 종모양의 좌우 대칭입니다.
정규분포로 환산하여 범위가 다른 두 분포를 비교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큰 수의 법칙과의 차이점
- '큰 수의 법칙'은 추출한 데이터의 크기가 커질수록 모집단의 평균과 같아집니다.
- '중심극한정리'는 모집단이 어떠한 분포든지 표본을 추출하고 크기가 클수록 정규 분포의 형태에 가까워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