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ent Side Rendering
렌더링이 클라이언트 쪽에서 일어난다.
즉, 서버는 요청을 받으면 클라이언트에 HTML과 JS를 보내준다. 클라이언트는 그것을 받아 렌더링을 시작한다.
위의 사진은 CSR의 단계를 설명한다.
- User가 Website 요청을 보냄.
- CDN이 HTML 파일과 JS로 접근할 수 있는 링크를 클라이언트로 보낸다.
CDN : aws의 cloudflare를 생각하면 됨. 엔드 유저의 요청에 '물리적'으로 가까운 서버에서 요청에 응답하는 방식- 클라이언트는 HTML과 JS를 다운로드 받는다.
(이때 SSR과 달리 유저는 아무것도 볼 수 없다.😡)- 생략
- 다운이 완료된 JS가 실행된다. 데이터를 위한 API가 호출된다.
(이때 유저들은 placeholder를 보게된다. )- 서버가 API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한다.
- API로부터 받아온 data를 placeholder 자리에 넣어준다. 이제 페이지는 상호작용이 가능해진다.
즉, 서버에서 처리 없이 클라이언트로 보내주기 때문에 자바스립트가 모두 다운로드 되고 실행이 끝나기 전까지 사용자는 볼
수 있는게 없다.
장점
- 첫 로딩에 HTML과 static파일들만 다 받으면, 동적으로 빠르게 Rendering하기 때문에 사용자 UX가 뛰어나다.
- 서버에 요청하는 횟수가 훨씬 적기 때문에 서버 부담이 덜하다.
단점
- 모든 HTML과 static파일이 로드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리소스를 Chunk(청크) 단위로 묶어서 요청할 때만 다운받에 하는 방식으로 완화시킬 수는 있지만 해결할 수는 없다.)- SEO(검색엔진 최적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검색엔진이 크롤링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구글 검색엔진은 javascript까지 크롤링을 하지만 다른 검색엔진의 경우 그렇지 않다.)
Server Side Rendering
말 그대로 서버쪽에서 렌더링 준비를 끝마친 상태로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방식이다.
위의 사진은 SSR의 단계를 설명한다.
- User가 Website 요청을 보냄.
- Server는 'Ready to Render'. 즉, 즉시 렌더링 가능한 html파일을 만든다.
(리소스 체크, 컴파일 후 완성된 HTML 컨텐츠로 만든다.)- 클라이언트에 전달되는 순간, 이미 렌더링 준비가 되어있기 때문에 HTML은 즉시 렌더링 된다. 그러나 사이트 자체는 조작 불가능하다. (Javascript가 읽히기 전이다.)
- 클라이언트가 자바스크립트를 다운받는다.
- 다운 받아지고 있는 사이에 유저는 컨텐츠는 볼 수 있지만 사이트를 조작 할 수는 없다. 이때의 사용자 조작을 기억하고 있는다.
- 브라우저가 Javascript 프레임워크를 실행한다.
- JS까지 성공적으로 컴파일 되었기 때문에 기억하고 있던 사용자 조작이 실행되고 이제 웹 페이지는 상호작용 가능해진다.
즉. 서버에서 이미 '렌더 가능한' 상태로 클라이언트에 전달되기 때문에, JS가 다운로드 되는 동안 사용자는 무언가를 보고 있을 수 있다.
장점
- 초기 로딩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사용자가 컨텐츠를 빨리 볼 수 있다.
- 모든 검색엔진에 대한 SEO(검색엔진 최적화)가 가능하다.
단점
- 매번 페이지를 요청할 때마다 새로고침 되기 때문에 사용자 UX가 다소 떨어진다.
- 서버에 매번 요청을 하기 때문에 트래픽, 서버 부하가 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