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3 : 네트워크개요

김마사키·2022년 4월 20일
0

사이버보안개론

목록 보기
2/6

1. OSI 7 layer : 국제표준

2. TCP/IP :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5 layer

3. 네트워크장비 : 종류, 특징

OSI 7 layer

  • 국제표준화기구 ISO
  • 계층적, 독립적 동작
  • 개념적 모델, 실제 구현 X

c.f )
TCP/IP - 실제 구현 O

  • 통신 프로토콜
  •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과정에 대한 약속
  • 각 계층별로 동작하는 다수의 프로토콜이 정의됨

OSI 7게층 모델


7계층 : 응용 계층

  • 사용자에게 User Interface를 제공
  •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계
  •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 수행

응용계층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

FTP, HTTP, TELNET, SSH

응용서비스

웹 브라우저, 메일전송 프로그램


6계층 : 표현 계층

  • 암호화, 복호화
  • 인코딩, 디코딩
  • 데이터 형식의 변환 수행

5계층 : 세션 계층

  • 세션 Session
    양 끝단의 두 개의 응용 프로세스 사이의 통신

  • 세션 관리 계층

  • 통신 방식의 종류
    1. 전이중 방식 - 휴대전화 (동시에 송신, 수신 가능)
    2. 반이중 방식 - 무전기 (동시에 송신, 수신 중 1)
    3. 단방향 방식 - 라디오 (송신, 수신 중 1)


4계층 : 전송 계층

  • 양 끝단의 사용자가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주고 받게 하는 계층

TCP

  • connection-oriented ( logical channel )
  • 오류 제어 O
    • 양 끝단에서 전달받은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 -> 재전송 요청 or 중복된 데이터 삭제
  • 흐름 제어 O
    • 수신 측에서 처리할 수 있을 만큼의 데이터만 받을 수 있도록 제어
  • 신뢰성 O
  • 느린 속도 (UDP보다)

UDP

  • connection-less
  • 흐름 제어 X
  • 신뢰성 보장 X
  • 빠른 속도
  • e.g ) 인터넷 실시간 영상

3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여러 개의 노드를 거칠 때마다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
  • IP
  • 라우팅 Routing
    데이터를 전달할 때, 어떤 경로로 데이터를 보낼 지 경로 선택
  • IP packet header 이용 -> 최적의 전달 경로 선택
  • 기존 경로 상, 고장이 발생 시 -> 대체 경로 탐색

2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 직접 연결된 단말 사이
  • Point-to-Point 간의 신뢰성 보장
  • L1 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찾기 Parity Check 패리티 검사 -> 오류 수정
  • MAC addr ( physical address )
  • 장비 : Switch
  • 프로토콜 : 이더넷 Ethernet -> LAN에서 사용

1계층 : 물리 계층

  • 단말과 단말 사이를 실제 물리적으로 연결
    e.g ) 꼬임쌍선, 동축케이블, 광케이블, 무선

  • 단말 Terminal
    1. 네트워크 사이를 연결하는 관문 역할의 노드 (L3)
    2.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단말 (PC, Smartphone)
    -> 1, 2를 모두 포함


TCP/IP

TCP/IP 개요

  • Internet 핵심 통신 프로토콜

TCP 헤더

TCP header의 크기는 최소 20 byte 이상이다 (O)

  1. source port # - 16bit
  2. dest port # - 16bit
  3. Seq # - 32bit
  4. ACK # - 32bit
  5. header length - 4bit (TCP header 길이 고정 X)
  6. reserved - 6bit
  7. Flag bit ( URA, ACK, PSH, RST, SYN, FIN ) - 6bit
  8. Window size - 16bit
  9. TCP checksum - 16bit
  10. emergency point - 16bit

TCP 포트

- 포트 Port
각 단말기 내에서 사용되는 주소 (수신자 시스템 내)

  • 16 bit

- Well known Port number
20, 21 – FTP, 원격 파일 전송을 위한 목적
22 – SSH, 암호화된 원격 접속을 위한 목적
53 - DNS(Domain Name System), URL의 도메인 주소에서 IP 주소를
얻어올 때
80 - HTTP, 웹 접속을 위한 목적
443 – HTTPS, 암호화된 웹 접속을 위한 목적


TCP : connection

TCP는 connection-oriented protocol.

  • 3-way Handshaking
  1. Client : -> Server에게 SYN 패킷
  2. Server : -> client에게 SYN+ACK 패킷
  3. Client : -> Server에게 ACK 패킷
    ( 이후 연결 생성 Established 상태가 지속 )

TCP : data send

  • 2-way
  • 실제 메시지가 오고 가는 과정

  1. Client : -> Server에게 패킷 with Data
  2. Server : -> client에게 ACK 패킷

흐름제어
Client 가 (Server 의 ACK 패킷을) 일정 시간 못 받은 경우
=> Client -> Server : 메시지 재전송
=> TCP header 이용, 슬라이딩 윈도우 방법으로 처리


TCP : close

  • 4-way
  1. Client : -> Server에게 FIN 패킷
  2. Server : -> client에게 ACK 패킷
    ( Server : 남아있는 작업 수행 )
  3. Server : -> clinet에게 FIN 패킷
  4. Client : -> Server에게 ACK 패킷

IP

  • IP
    L3,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하는 통신 프로토콜, 라우팅 담당

  • L3, IP 주소

    라우팅 테이블 (Routing Table)

    각 노드 사이의 연결 정보를 저장한 테이블
    두 연결 사이의 cost(전송 속도 or 거쳐야 하는 라우터 개수)를 저장

IP addr

- IPv4 vs IPv6

  • IPv4

  • 네트워크 상, 유일한 주소

  • 32 bit (= 4 byte)

  • 10진수, 8 bit 씩 4묶음

  • 신규 주소 할당 중지 (2011년 2월 4일 종료)

  • IPv6

  • 128 bit (= 16 byte)

  • 16진수, 16 bit 씩 8묶음

Q. IPv4 - IPv6는 호환되지 않는다 (O)

- IP addr class

  • IP 주소의 Class
    • 종류 : 5가지 (A, B, C, D, E)
    • 일반 사용 : 3가지 (A, B, C)
    • 특수 목적 : D (multi-casting용), E (연구용)
  • 구분

IP 주소 = 네트워크 주소 + 호스트 주소

  • IANA : TCP/IP 관리하는 국제표준기구

    • IP 주소의 네트워크 주소에 해당하는 부분만 할당

    • 호스트 주소 범위는 신청자가 자율적으로 관리

- public IP vs private IP

public IP : IANA에 의해 할당받은 IP addr

private IP : local network에서만 사용될 수 있는 IP addr

사설 IP address

Class주소 범위
Class A10.0.0.0 ~ 10.255.255.255
Class B172.16.0.0 ~ 172.31.255.255
Class C192.168.0.0 ~ 192.168.255.255

IP addr vs. MAC addr

IP addr

  • 10진수, 32bit
  • L3, Network 계층

MAC addr

  • 16진수, 48bit
  • L2, Data link 계층
  • 물리적 주소, NIC

네트워크장비

리피터

  • L1
  • 신호 증폭

허브

  • L1
  • 다중 포트 리피터
  • Star 형태
  • Broadcasting 방식

스위치

  • L1, L2 (local network)
  • 향상된 network 속도
  • 패킷을 dest MAC addr에만 전송
  • Broadcasting 방식 X

라우터

  • L1, L2, L3 (between network)
  • 패킷을 dest IP addr에 전송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