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퍼티란?!
: attribute에 대한 HTML DOM 트리안에서의 표현.
ex. attribute는 값이 ‘my-class’이며 이름이 ‘className’인 property를 가진다.
attribute란?!
: HTML 요소의 추가적인 정보를 전달하고 이름=“값” 이렇게 쌍으로 온다.
<div class=“my-class”></div>
를 보면 div 태그가 class 라는 값이 ‘my-class’인 attribute를 가지고 있다.
div 는 표준 블록 엘리먼트, 좌우로 최대한 늘어난다.
자주 볼 수 있는 다른 블록 엘리먼트 >> p / form / header / footer / section
혼자 한 줄을 차지한다.
inline element 와 달리 width, height, margin, padding 등 속성이 적용된다.
흔한 엘리먼트는 span, a, em
인라인 엘리먼트는 단락 안에서 단락에 영향없이 그 텍스트를 감쌀 수 있다.
주의 !! inline 태그의 경우 width와 height 속성을 지정해도 무시된다.
🤷♂️ 왜?!?
해당 태그가 마크업하고 있는 컨텐트의 크기 만큼만 공간을 차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
script와 같은 일부 특별한 엘리먼트에서는 none을 기본값으로 사용하기도 하며 자바스크립트에서 엘리먼트를 실제로 삭제하고 재생성하지 않고도 엘리먼트를 보이고 감추는 데 흔히 사용됨.
button, selct 등이 있다.
ex.
.box2 {
display: inline-block;
width: 200px;
height: 100px;
margin: 1em;
}float 속성을 적용한 것 처럼 레이아웃 형태로 표현 가능하다.
또한, inline 처럼 줄바꿈없이 다른 엘리먼트와 나란히 배치된다.
그러나! 🤦🏻 인라인에서 불가능하던, width, height, margin, padding 등 속성 지정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