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쟁이채소처럼] 농가/기업 매칭 서비스: 기획(2)

Welcome to Seoyun Dev Log·2023년 3월 25일
0

[농가/기업 매칭 서비스]

  • 진행기간 2023.1.13~2023.2.15 [1개월]
    팀빌드(팀명,프로젝트명,서비스 아이디어 회의 등) : 1/13
    기획(사이트맵, 스토리보드 작성) : 1/14~1/20
    DB설계(모델링) : 1/21~1/23
  • 프로젝트 인원 : 7인
    • 장서윤(PM)
    • 김예진(CTO)
    • 전수진(기획)
    • 서태건(인프라)
    • 김정현
    • 최아영
    • 한건주

[프로젝트 환경 및 사용 기술]

  • BackEnd: Java11, Springboot 2.7.5, Gradle, MySql, JPA, Redis, RDS
  • Library:
    spring boot web, Lombok, Spring Validation, Spring security, JWT, Spring Jackson, Spring Data Redis
  • 사용한 API:
    농산물 API, 지도 API, 채팅 API, Mail API, 인증 API, 국세청 사업자등록정보 진위확인 및 상태 조회 API, NAVER SMS API, 토스 결제 API, 전자결제 이폼싸인
  • 인프라: GitLab Runner, Slack, AWS EC2, S3, Docker
  • API 문서화: Swagger, Postman

팀 구성원 및 구현 기능

팀원Role구현기능
김예진CTO- 회원 가입 및 로그인/로그아웃, Security, oauth 2.0
- 경매 / 모집 리스트 조회
- 알림 (경매 / 모집 종료시, 기업 / 농가 좋아요)
김정현FE / BE- FE (8페이지)
- 전자계약 API (이폼싸인)
- 경매/모집 마감 로직
- 경매/모집 게시글 상페페이지 조회
🚩장서윤팀장 / PM / FE / BE- FE (17페이지)
- 프로젝트 총괄
- 결제 API (토스) 결제 및 환불(카드)
- 사용자 포인트
- 보증금 예치 서비스 (모집/경매)
- 경매 시작 최저가 게시글 5위 조회
- 마이페이지(기업/농가/공통/관리자)
- 관리자 정산(계좌이체) / 예치금 관리
- 관리자 회원가입
전수진기획 / BE로고 및 발표자료 문서화
최아영BE- 모집 신청 및 완료
- 입찰 신청
- 문자 본인인증
- 농산물 API, 지도 API
- 기업/농가 리스트 조회 및 단건 조회
서태건인프라 / BE- CI/CD
- 게시글 등록(기업/농가) 및 유효성
- 이미지 업로드 S3
한건주BE- 기업 회원 검증(사업자등록, 이메일, URL)
- 이미지 업로드 S3
- 사용자 간 쪽지 기능
- 게시글 좋아요(모집/경매)
- 지역별 농산물 평균 거래량/입찰가 조회

ERD


시스템 아키텍처


🥬 멋쟁이채소처럼 기획

👩‍🌾기획 의도

🚩 본 프로젝트는 할머니댁 농가를 도와 실제 계약재배를 진행하며 기업과 농가가 겪는 어려움과 계약 체결시 불편했던 부분에서 착안한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진행된 프로젝트 입니다.

  • 기업은 많은 농산물을 저렴하게 확보하고 싶지만 불확실한 농가 정보와 확인할 수 없는 소작농가를 찾을 수 없으며, 못난이 농산물의 경우 대량으로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즙이나 모양이 상관없는 농산물을 저렴하게 주기적으로 구입하기 어렵다.
  • 농가는 매년 불확실한 농산물 가격 변동과 품질이 낮은 농산물의 경우 판매 기회조차 얻지 못하고 버려지거나 헐값에 처분되고 있어 경제적 손실은 물론 폐기로 인한 환경오염이 되고 있다.

[농가 / 기업의 이익 증대를 도와주는 온라인 못난이 농산물 중개 플랫폼]

🏢 상품 가치가 낮아 버려지는 못난이 농산물을 어디에, 얼마나 있는지 알 수 있다면?
👨🏽‍🌾 버려지는 농산물을 필요로하는 수요처를 알 수 있다면?

서비스 미션

  • 버려지는 농산물을 공판장에 판매하는 것 이상의 값을 받을 수 있을 것인가?
  • 기업과 농가의 접촉 최소화 (사이트 내에서 검색/게시/모집/계약/정산 해결)
  • 경매 최고 가능 입찰가와 최저가를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
  • 경매 참여시 낙찰자가 결제하지 않는 경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가?
  • 모집 완료 시 기업이 대금을 납부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할 수 있는가?
  • 소규모 농가를 어떻게 찾고 모집할 것인가?
  • 농산물 데이터를 어떻게 실시간으로 받을 것인가?
  • 기업이 직접 농가를 방문하지 않고 대지를 확인할 수 있는가?
  • 많은 사용자의 동시성 처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

👩‍🌾 1) 농가 입장

  • 농사를 지으며 판로를 찾기 어렵다
  • 매년 못난이 농산물이 얼마나 나올지 알 수 없다
  • 소량으로 나오는 못난이 농산물 처분이 어렵다(폐기함)
  • 계약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
  • 기업의 내부 진행상황을 확인할 수 없다

🏢 2) 기업 입장

  • 필요한 품종을 재배하는 농가를 찾기가 어렵다
  • 소량으로 나오는 못난이 농산물을 한번에 모집하기 어렵다
  • 전국의 농가를 모두 확인할 수 없다
  • 규모가 작은 소농가는 농가는 찾기 어렵다
  • 모집부터 계약까지 한번에 할 수 없다

🥬 사이트 타겟

🏢 기업 사용자

👩‍🌾 농가 사용자

profile
하루 일지 보단 행동 고찰 과정에 대한 개발 블로그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