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턴스화, SRP (작은 과제형 프로젝트)

민근·2024년 10월 9일
0

Instance(인스턴스) : 클래스(객체 설계도)를 기반으로 생성된 객체
인스턴스 == 객체 라고 봐도 무방 하지만,
인스턴스는 클래스를 기반으로 만든 것이기 때문에 보다 구체적인 의미를 지님

인스턴스화(Instantiation) : 클래스를 기반으로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
사용법 : 변수or상수선언 = new 클래스명()
*괄호()는 인자값이 없는 경우 생략이 가능하지만, 보통 인스턴스화의 가독성을 주기 위해 넣곤 한다.

SRP(Single Responsibilty Principle, 단일 책임 원칙) : 하나의 모듈 혹은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는 객체 지향 5원칙 중 한가지.
언뜻 보면 다중 책임제한하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프로그래밍적인 측면에서 봤을때,
사람으로 따지면 본업 외의 부업 때문에 본업에 온전히 집중하지 못하는 등의 변수 발생과 그에따른 관리가 힘들어짐을 뜻한다.
그래도 책임을 나누다 보니 문제가 되거나 수정해야 하는 부분만 건드리면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성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가독성도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 2계층, 3계층 레이어드 아키텍처 패턴을 학습했었고, 그 과정에서 유독 생각나는 원칙이었으며
    이러한 원칙을 무시한 채 컨트롤러, 서비스, 레퍼지토리에서 무분별하게 코드를 난사해댔던 과거가 떠오르기도 하여 신경 쓰며 지키고 있는 원칙이기도 하다.
    실제로도 SRP를 나름 신경 쓰며 지키다 보니 가독성이 좋아짐은 느끼고 있다.
profile
이전에 썼던 일기 형식의 블로그 -> https://blog.naver.com/mgeun97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