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급객체와 고차함수

Dl2l·2023년 1월 12일
0

일급 객체

함수는 일급 객체다

  • 변수에 할당할 수 있다 => 함수를 배열의 요소나 객체의 속성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함수를 데이터(string, number, boolean, array, object)처럼 다룰 수 있다.
const square = function (num) {
	return num * num;
};

//변수 square에는 함수가 할당되어 있으므로 (일급 객체), 함수 호출 연산자 ()를 사용할 수 있다.
output = square(7);
console.log(output) // 49

함수는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달 인자(인수, argument)로 받거나, 리턴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함수도 변수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함수를 인자로 받거나, 리턴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 다른 함수의 전달인자로 전달될 수 있다.
  • 다른 함수의 결과로서 리턴될 수 있다.

고차 함수란?

함수를 전달인자(인수, argument)로 받을 수 있고, 함수를 리턴할 수 있는 함수다.
함수는 변수에 저장할 수 있고 함수를 담은 변수를 전달인자로 받을 수 있다.

함수 내부에서 변수에 함수를 할당할 수 있다.
함수는 이 변수를 리턴할 수 있다.
여기서 변수에 할당하지 않고 함수를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어떤 고차 함수에 함수를 전달인자로 전달하고, 고차 함수는 함수 자체를 리턴한다.
변수가 빠졌을 뿐 동일하게 동작한다.

콜백함수

이때 다른 함수의 전달인자로 전달되는 함수를 콜백함수라고 한다.

왜 콜백함수라는 이름이 붙었을까?
어떤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호출하는 경우가 많아서 답신 전화를 뜻하는 콜백 함수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콜백함수는 전달 받은 고차함수는 함수 내부에서 이 콜백 함수를 호출할 수 있고, 조건에 따라 콜백 함수의 실행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아예 호출하지 않을 수도 있고 여러번 실행할 수도 있다.
특정 작업의 완료 후에 호출하는 경우는 이후에 충분히 접할 수 있다.

커링함수
고차함수라는 용어를 '함수를 전달인자로 받는 함수'라고 한정할 때 사용한다.
함수를 리턴하는 함수를 고안해 낸 논리학자 하스켈 커리의 이름을 딴 것이다.
고차함수는 커링함수를 포함한다.

고차함수 사례

  1. 다른 함수를 인자로 받는 경우
function double(num) {
	return num*2;
}

function doubleNum (func, num) {
	return func(num);
}
//다른 함수를 인자로 받는 고차함수다!
//func에 함수가 들어올 경우 func는 doubleNum의 콜백 함수다.

let output = (double, 4);
console.log(output); //8
//함수 double은 함수 double의 콜백함수다.

  1. 함수를 리턴하는 경우
function adder(added) {
	return function(num) {
    	return num + added;
    };
}
//adder은 다른 함수를 리턴하는 고차함수다.
//adder은 인자 한 개를 입력받아서 함수(익명함수)를 리턴한다.

const add3 = adder(3);
output = add3(2);
console.log(output); //5
// adder가 리턴하는 함수를 변수에 저장할 수 있다.

  1. 함수를 인자로 받고 함수를 리턴하는 경우
function double(num) {
	return num*2;
}

function doubleAdder(added, func) {
	const doubled = func(added);
    return function (num) {
    	return num + doubled;
    };
}
// doubleAdder은 고차함수다.
// doubleAdder의 인자 func는 함수 doubleAdder의 콜백함수다.
// 함수 double은 함수 doubleAdder의 콜백으로 전달됐다.

const addTwice3 = doubleAdder(3, double);
addTwice3(2);
// doubleAdder가 리턴하는 함수를 변수에 저장할 수 있다. (일급객체 : 변수에 할당할 수 있는 객체)
profile
안녕하세요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