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간단하게 지원한 이유나 계기를 말해야 할 것 같아서 이것부터 말하자면, 본격적으로 개발 공부를 시작한 이후로부터 계속해서 다른 사람들과 같이 여러가지 이야기를 하면서 함께 발전해나가고 싶었다. 어떤 커뮤니티에 속한 소속감을 느끼고 싶기도 했던 것 같다. 코시국이
생성자나 메소드의 선언 끝 부분에 사용되어 내부에서 발생된 예외를 떠넘긴다.throws 뒤에는 떠넘겨야 할 예외를 쉼표(,)로 구분해서 기술한다.모든 예외를 떠넘기기 위해 간단하게 throws Exception으로 작성할 수 있다.📌 새로운 예외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
null값을 갖는 변수에 객체 접근 연산자(.)를 사용했을 때 발생하는 예외. 즉, 객체의 값이 없는데 사용하려 할 때 발생하는 예외이다.예외가 발생하면 Console창에 어떤 예외가 어떤 소스의 몇 번째 코드에서 발생했는지 알려준다.프로그램이 정상작동하지 않을 때 발
스프링부트: 스프링을 쉽게 쓰게 해주는 툴스프링: 자바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쉽게 하게 해주는 프레임워크start.spring.io 사이트maven 또는 gradel 중에 사용할 프로젝트 선택maven 선택언어 선택spring boot 버전 선택 - maven 선택시sn
중첩 클래스: 클래스 내부에 선언된 클래스이지만 생성 시 다른 클래스들과 마찬가지로 바이트 코드(~.class) 가 만들어진다!중첩 인터페이스: 클래스 내부에 선언된 인터페이스A 클래스 외부에서 B 클래스의 객체를 생성하려면 먼저 A 객체를 생성해야 B 객체를 생성하여
추상 클래스는 실체 클래스들의 공통되는 필드와 메소드를 정의한 클래스이다.실체 클래스의 부모 클래스 역할을 하기 때문에 new연산자를 사용해서 객체를 직접 생성하지 못하고 상속으로 자식 클래스만 생성할 수 있다.추상 클래스는 abstract를 붙여서 클래스를 선언한다.
클래스와 클래스의 구성 멤버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클래스 앞, 클래스 내 변수 앞, 메소드 앞에 붙는다.📌 클래스에 사용 가능한 접근 제한자는 public과 default뿐이다!!클래스의 접근 제한자 종류public: 모든 패키지에서 자유롭게 접근 가능
👉 부품에 해당하는 객체들을 먼저 만들어서 이들을 조립하여 하나의 프로그램을 완성시키는 것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것과 추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 중에서 속성과 동작을 가지는 모든 것이 객체!필드(속성)와 메소드(동작)로 구성된 자바 객체로 모델링이 가능객체끼리 서로의
💡 참조 타입 (이어서) 4. String 타입 String 타입 사용 방법 👉 자바는 문자열을 String 변수에 저장하므로, String 변수를 먼저 선언하고 큰따옴표로 감싼 문자열 리터럴을 대입한다. > #### String 타입 사용 예시 String 타
지난번엔 모르는 것만 뽑아서 썼는데 이번에는 제대로 정리해보고자 좀 더 꼼꼼히 작성해봐야지. 본격 실습을 시작하기도 했으니 예제랑 같이.자바의 제어문은 조건문과 반복문으로, 2종류이다.if문은 조건식의 결과에 따라 블록 실행 여부가 결정된다.조건식에는 true/fals
아무래도 수업시간이 9 to 6 풀타임이라 하루에 배우는 양이 어마어마한 나머지 TIL조차 나눠서 써야 하는 현실...(그럼 TIL이 아니지 않나) 아무튼 기본 개념부터 시작해서 이론적인 것을 배워가다 보니 양은 많지만 변수나 데이터 타입, 연산자 등은 기존에 이미 내
작고 소중한 멋직 경험 하나로 일단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되어보자고 마음 먹었는데 AI 활용한 웹 개발과정을 무턱대고 등록했다가 그만 자바를 배우게 되었다. 프레임워크도 스프링을 이용한다고 하니 프론트엔드가 아니라 이건 완전 백엔드 개발자 양성 과정인데 왜 그냥 백엔드
벌써 작년이 되어버린 2020년 12월, 멋직 수료가 다가오자 얼른 다음 단계로 넘어가고 싶은 마음에 이리 기웃, 저리 기웃하면서 공부할 곳을 찾았었다. 마침 다가오는 새해를 기점으로 교육을 시작하기 위해 수강자를 모집하는 곳은 아주 많았기 때문에 내가 원하는 커리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