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ctl

mingg·2024년 1월 30일
0

쿠버네티스

목록 보기
2/9

쿠버네티스로 컨테이너 실행하기

kubectl [command][type] [name][flags]

command : 자원에 실행할 명령 ex) create, get, delete

type : 자원의 타입 ex) node, pod, service

command 예시

# 리소스들 참고
kubectl api-resources

# 명령어 도움말 참고
kubectl --help

# 노드 정보 보기
kubectl get nodes -ㅐ 쟝ㄷ

Pod 생성

# pod생성 -> run
kubectl run webserver --image=nginx:1.14 --port 80

잘 돌아가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아래 명령어로 접속해보면 잘 나오는걸 알 수 있다

curl 172.16.64.4
# 뭔가 웹 베이스 이런거로 보고 싶다 하면?
apt-get update 
apt install elinks
elinks 172.16.64.4 

#run과 다른점은 run은 컨테이너가 하나인경우 
kubectl create deployment mainui --image:httpd --replicas=3

Pod 안에 있는 container에 접근하기

webserver에 있는 컨테이너의 index.html을 수정해보자

kubectl exec webserver -it -- /bin/bash
ls
cd /usr/share/nginx/html/
echo "Minseo's web" > index.html
cat index.html
exit

container의 동작 log확인은?

kubectl logs webserver
kubectl port-forward webserver 80:80

포워딩 시켜주면 이렇게도 할 수 있다.

아까 만들어준 deployment를 수정하려면 여기서 replicas도 수정할 수 있음

replicas는 파드 수

kubectl edit deployment.apps mainui  
#파드 실행
kubectl run webserver --image=nginx:1.14 --port 80
#파드가 실행되는지 체크
kubectl run webserver --image=nginx:1.14 --port 80 --dry-run
#그 파드 형식을 yaml파일 형식으로 보여줘
kubectl run webserver --image=nginx:1.14 --port 80 --dry-run -o yaml
# > 사용해서 해당 yaml파일 저
kubectl run webserver --image=nginx:1.14 --port 80 --dry-run -o yaml > webserver-pod.yaml

그럼 저장한 yaml파일로 pod생성가능

profile
혼자 이것저것 해보는걸 즐깁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