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 코드 | 상태 텍스트 | 설명 |
---|---|---|
200 | OK | 요청을 성공적으로 처리했음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GET 요청에 대한 성공적인 응답을 의미한다. |
201 | Created | 새로운 리소스가 성공적으로 생성되었음을 나타낸다. 주로 POST나 PUT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된다. |
400 | Bad Request |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잘못되었음을 나타낸다. 서버가 요청을 이해할 수 없거나 유효하지 않은 구문으로 작성되었을 때 발생한다. |
401 | Unauthorized | 요청한 리소스에 대한 인증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클라이언트가 인증되지 않았거나, 유효하지 않은 인증 정보를 제공했을 때 발생한다. |
403 | Forbidden | 클라이언트가 특정 리소스에 접근할 권한이 없음을 나타낸다. 서버가 요청을 이해했으나 거부할 때 발생한다. |
404 | Not Found | 요청한 리소스를 찾을 수 없음을 나타낸다. 서버가 요청한 URI에 해당하는 리소스를 찾을 수 없을 때 발생한다. |
500 | Internal Server Error |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는 동안 내부 오류가 발생했음을 나타낸다. 서버 측에서 처리 중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 사용한다. |
503 | Service Unavailable | 서버가 현재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서버가 과부하되었거나 유지 보수 중일 때 사용한다. |
분류 | 쿠키 | 캐시 | 세션 |
---|---|---|---|
정의 | 주로 사용자의 상태를 유지하고 추적하기 위해 활용한다. 로그인 상태, 사용자 설정 등을 저장하는 데 사용 | 리소스 파일을 임시로 저장하여 다시 계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한다. 웹 페이지 로딩 속도를 향상시키고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킵니다. | 사용자의 상태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메커니즘이다.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나 웹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상태를 저장한다. |
저장 위치 | 로컬 브라우저 | 로컬 브라우저 | 서버 |
보안성 | 취약 | - | 높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