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입을 지정해 코드에서 사용하는 유효한 값의 범위를 제한해 런타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효하지 않은 값에 대한 에러를 방지한다.
function double(n) {
return n * 2
}
double(2) //4
double("z") // NaN
double()의 내부 동작은 숫자를 인자로 받을 것으로 기대하나 그 외의 타입에 해당하는 값을 전달하면 의도하지 않은 작업을 수행해 원하는 값을 얻지 못한다.
function double(n : number) {
return n * 2;
}
double(2) //4
double("z") // NaN
타입을 제한하면 타입스크립트 컴파일러는 함수를 호출할 때 호환되는 인자로 호출했는지를 판단한다. 따라서 string 타입인 "z"를 호출한 경우 number에 할당이 불가능해 에러가 발생한다.
이 때, 타입스크립트의 컴파일 결과물은 여전히 사람이 이해 가능한 자바스크립트 파일이다.
타입스크립트의 탄생 이유는 고수준-저수준의 코드 변환을 위해서가 아닌 자바스크립트의 런타임 에러를 잡아내기 위한 것으로 타입스크립트를 컴파일 하면 타입이 모두 제거된 자바스크립트 소스코드만이 남게 된다.
타입 에너테이션 방식
구조적 타이핑
구조적 서브타이핑
interface Pet {
name: string;
}
interface Cat
name: string;
age: number;
}
let pet: Pet;
let cat: Cat = {name: "Zag", age: 2}
// OK
pet = cat
Cat과 Pet이 다른 타입으로 선언되었으나, Pet이 갖고 있는 name 속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Cat타입으로 설정한 cat을 Pet타입으로 설정한 pet에 할당할 수 있다.
값 : value 은 프로그램이 처리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하는 모든 데이터이다. 따라서, 숫자와 같은 데이터는 물론이고 반환하는 결괏값, 문자열, 매개변수 등도 값에 해당된다.
11; // 숫자 값
"hello typescript" // 문자열 값
let foo = "bar" // 변수값
// 함수 역시 변수에 할당할 수 있는 값임을 알 수 있다.
function goWork(developer) {
console.log(`tired ${developer}`)
}
// 이 예시는 developer라는 변수에 "zig"라는 문자열 값을 할당했다
const developer = "zig"
입스크립트 문법인 type으로 선언한 내용은 자바스크립트 런타임에서 제거되기 때문에 값 공간과 타입 공간의 이름은 서로 충돌하지 않기 때문에 타입과 변수를 같은 이름으로 정의할 수 있다.
타입은 주로 타입 선언(:) 또는 단언 문(as)으로 작성하고 값은 할당 연산자(=)로 작성한다.
타입스크립트에서 값과 타입의 구분은 맥락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혼동할 때도 있다.
function email(option: { person: Person; subject: string; body: string}) {
//..
}
// 위의 코드를 구조 분해 할당하면 아래와 같다.
function email({ person, subject, body}) {
//..
}
자바스크립트의 구조 분해 할당을 사용하면 email 함수의 매개변수로 넘기는 options 객체를 아래와 같이 풀어 쓸 수 있다. 그러나 같은 코드를 타입스크립트에서 구조 분해 할당 하면 오류가 발생한다.
이는 값의 관점에서 Person과 string이 해석되었기 때문이다. 개발자의 의도와 달리 Person과 string이 값 공간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 person과 Person이 각 함수의 매개변수 객체 내부 속성의 키-값 쌍에 해당되는 것으로 해석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값-타입 공간을 혼동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값과 타입을 구분해서 작성한다.
function email({person, subject, body} : { person: Person; subject: string; body: string; }) {
//...
}
이와 다르게 클래스와 enum은 값과 타입 공간에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다.
클래스의 실제 동작은 함수와 같으며 동시에 타입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enum의 경우 클래스처럼 타입공간에서 타입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지만 런타임에 객체로 변환되어 실제 객체로 존재하며 함수로도 표현 가능하고 실제 값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 enum과 union
다른 타입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는 데 사용될 수 있으나, 그 용도와 작동 방식에 차이가 있다.
💥 type과 interf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