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로 RDS를 만들었는데 이걸 외부접속을 차단했다고 해서
BE팀은 각각 localhost의 DB를 만들어서 사용해야 한다고 했다.
이게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아직 안 간다.
그래도 우선 하라는대로 localhost에 mysql DB를 판다.
근데 난 RDS의 엔드포인트로 DB 만드는 걸 따라해본게 전부라 이걸 어떻게 하는지 잘 모르겠다.
우선 DataGrip에 이런식으로 DB를 만들었다

라고 해서 블로그 찾아보니까
mysql에서 DB를 하나 만들어줘야 한다고 한다.

여기 접속해서 비번 치고 show databases; 명령어로 지금 내 mysql에 무슨 DB가 있는지 확인한다.

내가 만든 DB 이름이랑 DataGrip의 DB이름이랑 같아야 한다.
주의할 점은 mysql DB 이름 설정 시에 -는 사용할 수 없어서
create database surveyMate로 DB 만들어주고
다시 datagrip에서 test 연결 해보면 잘 되었다.
그러고 스프링부트 실행해보니까

📌 DB의 pool에 대해서 나중에 더 공부해야겠다.
밑에 접근 거부멘트를 보고 해결법을 유추했는데 using password: YES인 경우 mysql에서 비밀번호가 틀렸을 때 나오는 상황이다. 그래서 mysql 비밀번호를 어디서 설정하더라? 아까 DB connection에서는 잘 됐는데 하다가 스프링부트 내의 환경변수에서도 mysql 비밀번호를 사용하는게 생각이 나서 확인해보았다.

문제의 원인은 환경변수 설정을 잘못해서 그런거였다.
인텔리제이에서 오른쪽 위에 edit configurations에 들어가서 내 어플리케이션의 환경변수 설정을 잘 해주자. 처음에 environment variables 부분이 없어서 당황했는데 modify options 눌러서 environment variables 선택해주면 된다.



📌환경변수에 대해서도 나중에 공부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