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g-o 표기법은 알고리즘의 성능을 수학적으로 표기한 것이다.알고리즘의 성능을 측정하는 지표에는 시간복잡도와 공간복잡도가 있다.시간 복잡도: 특정 크기의 입력을 기준으로 할 때 필요한 연산의 횟수공간 복잡도: 프로그램 실행과 완료에 필요한 공간(메모리)만약 O(2N)
백준 2609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법은 중학교 때 배운 바있다. 하지만 코드로 풀어내는 건 또 다른 문제였다.한참 고민하다가 검색해 보았더니 유클리드 호재법으로 풀라는 조언이 있어, 그 방식대로 코드를 작성하기 시작했다.유클리드 호재법
스택(stack)은 쌓아올리는 걸 뜻한다.젠가를 쌓을 때를 생각해보자. 보통 아래에서부터 나무 블록을 차곡차곡 쌓아서 탑을 완성하지 않는가?이렇듯 스택은 데이터를 정해진 방향으로 쌓는 것이다.스택의 TOP은 가장 최근에 들어온 자료를 가리킨다. 그렇기 때문에 삽입되는
힙은 완전 이진 트리(Complete Binary Tree)의 일종으로 부모 노드와 자식 노드 간에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자료구조를 뜻한다.완전 이진 트리란, 부모 노드 밑에 자식 노드가 최대 2개까지 있을 수 있고, 마지막 레벨을 제외한 모든 노드에 노드가 완전히
프로그래머스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