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기획 및 리서치] 1, 2강 내용

조미나·2025년 8월 27일
0

벌써 디자인 심화!!
강의 수강 오랜만이었다 ㅎㅎ

_

다시 한번 UX, UI 차이점


팀 프로젝트 끝나고 보니까 더욱 이해가 되는 듯 하다.

더블 다이아몬드 모형


사용자 리서치 ~ 최종 프로토타입까지의 내용

쉽게 말해
발견은 사용자 리서치
정의는 문제 정의
발전은 정보구조도 및 와이어프레임
전달은 최종 프로토타입이다.

고정된 단계는 아니고, 왔다가 다시 돌아길 수도 있는 유동적 구조이다.

Lean 프로세스

MVP

최소한의 리소스로 앞으로 더 많은 자원을 투자할 가치가 있을 지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 드리븐

장점은 관점 3가지로 분류하자면 하기와 같다.

디자이너 관점
유저 데이터의 해석을 바탕으로 디자인 산출물에 대한 논리적인 근거를 제공할 수 있어요.
커뮤니케이션 관점
데이터는 타 조직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는 공용어 역할을 해요.
비즈니스 관점
디자인 산출물이 비즈니스에 얼마나 기여하는 지 파악할 수 있어요.

유저 리서치 종류


닐슨 노먼 그룹의 What-Why 프레임워크에 따라 유저 리서치의 종류를 위와 같이 나눠볼 수 있다.

유저 리서치를 크게 두가지로 분류하자면 정성적 리서치와 정량적 리서치다.

정성적 리서치는 소수를 대상으로 하기에 모든 사용자를 대변하기는 어렵지만, 유저의 생각, 의견, 감정을 이해하여 "왜(Why)"에 대한 심층적인 인사이트를 얻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그 종류에는 심층 인터뷰, 포커스 그룹, VoC 분석가 있다.

정량적 리서치는 유저의 행동 기반의 통계 데이터를 분석하여 "왜(WHY)"에 대한 심층적인 인사이트를 얻는 것은 어렵지만, "무엇(What)"과 “얼마나(How much/many)”에 대한 답을 얻는 것에 목적이 있다. 그 종류에는 설문조사, A/B 테스트, 애널리틱스가 있다.

데스크 리서치

데스크 리서치에는 마켓 리서치와 경쟁사 분석이 있다.

마켓 리서치는 시장 규모 및 성장 동향, 수익 구조, 법적 제약이 포함된다. 거시적 관점에서 자사 서비스의 시장 현황을 파악하는 것은 비즈니스 이해를 높이는 핵심 과정이다.
※ 앱 기반 서비스의 경우 data.ai에서 스토어 순위, 다운로드, 매출, 실 사용자 등의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다.

경쟁사 분석은 먼저 직접 경쟁사와 간접 경쟁사가 있는데 설명은 하기와 같다.
직접 경쟁사 : 자사 서비스와 동일한 산업군에서 유사한 가격대로 형성되어 있는 서비스
간접 경쟁사 : 자사 서비스를 대체하여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모든 서비스
이는 SWOT 분석과 포지셔닝 맵핑으로 분석할 수 있다.

위는 국내 OTT 서비스 웨이브의 강점과 약점, 기회와 위협을 분석해본 것이다.

위는 X축에는 오리지널 콘텐츠 강도, Y축에는 가격을 두고 OTT 서비스 5개 직접 경쟁사의 위치를 맵핑해본것이다.

profile
UX/UI 학습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