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을 만들기 위해 각자 다른 전문적인 능력을 갖춘 사람들이 모인 팀.
보통 1명의 제품관리자 (PO나 PM), 1명의 디자이너, 2명의 엔지니어로 구성하는 것이 최소 조건.
그 외에도 회사에 따라 제품팀에 데이터 애널리스트, 마케터, BO(Business Operator) 등이 포함될 수 있음.
※ 디자이너는 제품팀에만 속할까?
-> 스타트업에서는 목적조직과 기능조직이 교차하는 매트릭스 조직으로 팀을 구성하기도 함. (하기 설명 참고)
1) 목적조직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러 직무의 사람들이 모인 팀.
예를 들어, 핀테크 회사라면 도메인별로 대출팀, 카드팀, 예/적금팀으로 나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제품팀은 이 목적조직을 의미함.
주로 스쿼드나 사일로라고 부름.
제품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직무의 사람이 모여있는 팀이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고 효율적이다.
2) 기능조직
유사한 직무끼리 구성된 팀.
예를 들어, 기획팀, 디자인팀, 개발팀 등.
주로 챕터라고 부름.
비슷한 일을 하는 사람들끼리 모여있기 때문에 전문 분야에 대해 깊게 논의하고 서로의 발전을 도울 수 있다.
3) 매트릭스 조직
구성원이 기능조직과 목적조직이 교차된 형태로 소속된 구성.
예를 들어,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기능조직인 디자인팀에 속하면서 동시에 목적조직인 스쿼드에 속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많은 스타트업이 이 방식으로 일함.
팀의 규모는 회사마다 다를 수 있지만 아마존의 창업자 제프 베조스는 최대 16명을 넘지 않는 것을 추천.
1) 기획
- 문제 정의 : PO/PM과 함께 제품 목표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문제를 정한다. 회사에 따라 문제 정의 단계에서 디자이너가 참여하기도 하고, 참여하지 않고 따로 PO/PM이 문제를 선정해 공유하기도 한다.
- 아이데이션 : 앞서 정의한 문제를 해결할 다양한 아이디어를 내고, 그중에서 적절한 솔루션을 선택. 필요에 따라 러프한 솔루션 스케치를 진행하기도 한다.
- 프로덕트 스펙 문서 작성 : 디자인에 들어가기 전, 문서에 솔루션에 대한 상세 내용을 글로 먼저 적어보기. 디자인이 나오지 않아도 엔지니어가 솔루션을 미리 상상하고 준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회사에 따라 생략되거나 PO/PM 직군이 맡아서 하기도 함.
2) 디자인
- 초안 디자인 : 피그마나, 스케치 등의 디자인 툴로 솔루션을 디자인. 디자인 디테일보다는 전반적인 사용자의 여정과 UX에 집중해 보면서 프로덕트 스펙 문서에서 놓친 엣지 케이스는 없는지 살핌.
- 피드백 : 기획 단계에서 논의한 대로 잘 디자인되었는지 팀원들에게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는다. 솔루션의 성격에 따라 피그마 프로토타이핑이나 프로토파이 같은 프로토타입 툴을 사용하기도 한다.
- 최종 디자인 확정 및 핸드오프 : 피드백을 초안에 반영하여 최종 디자인을 확정. 확정한 최종 디자인을 엔지니어에게 공유하고 개발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도움. 필요에 따라 가이드를 함께 작성해 전달하기도 함.
디자인 핸드오프에서 지켜야 할 3가지
3) 개발
- 디자인 QA : 개발이 완료되면 디자인대로 정확하게 개발되었는지 확인하는 디자인 QA한다. 최대한 사용자와 비슷한 환경으로 테스트하기. 앱이라면 적어도 안드로이드, iOS 두 환경을 모두 확인하는 것이 좋다.
제품을 만들거나 개선할 때 사용하는 문서로 기능의 사양을 정의한 가이드
회사에 따라서 PRD(Product Requirements Document, 제품 요구사항 정의서)라고 부르기도 함.
1) 기획 배경 & 문제 정의
기획하게 된 배경을 짧게 설명하고 사용자의 문제를 정의.
<문제 발견 과정, 문제로 정의한 이유, 문제의 원인, 누가 이 문제에 영향을 받는지>이 포함되어야 함.
2) 솔루션 설명
만들고자 하는 솔루션에 대해 UX/UI 관점에서 자세하게 설명.
<페르소나, 사용자 시나리오, 기능별 주요 특징 & 요구사항, 예외 상황 및 Edge Case 정의, 최종 시안>이 포함되어야 함.
3) 실험 설계
솔루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어떤 순서로 실험을 진행하고 어떻게 결과를 분석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
<실험 가설 - 문제 해결을 통해 만들어 내고자 하는 결과, 실험 방식, 결과 평가 -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는 방법, 실험 기간>이 포함되어야 함.
4) 예상 일정
프로덕트 스펙에 꼭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임.
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추정하는 예상 일정을 잘 산정하는 것은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쓰기 위한 시작점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
<프로덕트 스펙 초안 작성 완료 예상 일정, UI/UX 디자인 최종 시안 제작 완료 예상 일정, 개발 분야별 예상 일정 - 프론트엔드, 서버, 이벤트 설계, QA가 각각 세부적으로 작성, 배포 목표 일정>이 포함되어야 함.
Google의 템플릿 참고
좋은 피드백을 받기 위해선 디자인을 잘 공유하는 것이 중요
<배경, 솔루션의 의도, 필수 리뷰어, 참고 문서, 피드백 기한, 예시> 가 포함되면 좋음.
협업의 질은 곧 제품의 질
협업이란 각 직무의 리소스가 낭비 없이 좋은 솔루션을 만드는 데 집중적으로 쓰이는 것을 의미.
제품의 개선이 실제로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경험으로 이어지는지 데이터로 검증하는 것.
사람은 편향적이기 때문에 만드는 사람의 주관이 제품에 반영되기 쉽다. 데이터로 사용자의 데이터를 확인하면, 객관적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음. 호불호가 데이터로 증명되기 때문이다.
참고 문서
Quality Assurance의 약자로, 제품이 출시되기 전에 기능을 테스트하는 것.
제품이 처음 기획한 대로 잘 구현이 되었는지, 회사에서 생각하는 품질 기준이 충족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