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m **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입력된 모든 데이터를 한번에 웹 서버로 전송하는 양식이다. 이 부분이 사용자와 웹 서버간의 상호 작용하는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 사용자가 어떤 내용을 원하는지,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무엇인지 파악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내장 객체 : JSP 페이지에서 JSP 컨테이너에 미리 정의된 객체이다.JSP컨테이너가 자동으로 내장객체를 멤버 변수, 메소드, 매개변수 등의 각종 참조 변수(객체)로 포함한다.별도의 IMPORT 문 없이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다.스크립틀릿 태그나 표현문 태그에 선언을
파일업로드웹 브라우저에서 서버로 파일을 전송하여 서버에 저장하는 것전송하기 위해서는 JSP 페이지에 폼태그를 사용한다.전송된 파일을 서버에 저장하기 위해 오픈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JSP페이지에 폼태그를 작성할 때 몇가지 중요한 규칙이 있다.1\. method 속성 :
> 유효성 검사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값이 서버로 전송되기 전에 특정 규칙에 맞게 입력되었는지 검증하는 것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 값 입력 시 부적합하다고 판단하여 다시 폼페이지로 되돌려 사용자에게 오류가 있음을 알려준다. 필요한 이유는 보안 공격, 잘못된 데이터,
다국어 처리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국가에 따라 다양한 언어 및 지역을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JSP 페이지에 JSTL의 fmt 태그를 이용하면 언어별로 페이지를 따로 만들 필요 없이 아주 간단하게 다국어를 지원할 수 있다. 다국어는 다양한 언어와 지역에 적용될 수 있
지역에따라서 다른 메세지 출력할 때 사용한다.하나의 jsp 페이지에 다양한 언어들을 출력할 때 사용한다.사용자가 정의한 태그의 정보가 담긴 경로 주소 -> url고유 속성 나타냄 : prefix - url 설정한 주소를 사용자가 정의한 태그로 식별하는 데 사용하는 고유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 간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방법사용자 인증을 통해 특정 페이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권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웹 브라우저마다 하나씩 존재 -> 웹 서버의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를 구분하는 단위가 된다.웹 서버에서만 접근이 가능 -> 보안
쿠키가 뭐야? > 정의 :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간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방법이다. 에엥? 그러면 우리 전에 배운 세션이랑 똑같은 거 아니야? -> 아닙니다! > 쿠키는 세션과 다르게 상태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저장한다는 것이 다르다. 쿠키는 클라이언트의 일
자바 표준 인터페이스로, 자바/JSP 프로그램 내에서 데이터 베이스와 관련된 작업을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바 표준 인터페이스이다.sql문을 실행하기 위한 자바 API / 자바 라이브러리로, JDBC API를 사용할 경우, DBMS의 종류랑 상관없이 데이터 베
메인 페이지의 다국어 처리를 위해 jstl(jar)설치후 fmt태그를 이용하여 다국어 처리 구현메인페이지의 메인 서비스 구역 밑에는 개월 수로 구독하는 사람들을 위한 개월 구독 서비스를 구현그리고 nav 및 footer을 include 태그를 이용하여 좀더 간결하게 구
list의 각 element를 predicate 함수를 돌려, 값이 truth인 것만 배열의 element로 리턴list : 배열 / 객체 / collectionpredicate : list의 각 element의 결과값이 truth인지 확인하는 test 함수cont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