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공부][JSP]-폼 처리

Mini_me·2021년 10월 6일
0

공부 [JSP] 

목록 보기
1/11

Form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입력된 모든 데이터를 한번에 웹 서버로 전송하는 양식이다.
이 부분이 사용자와 웹 서버간의 상호 작용하는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
사용자가 어떤 내용을 원하는지,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무엇인지 파악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필수적인 요소


1. 사용자가 웹브라우저에 폼 데이터를 입력
2. 입력한 폼데이터를 웹서버측이 받음
3. 받은 폼데이터는 JSP 컨테이너에서 처리하게 된다.
4. 응답할 것과 처리할 것을 구분하여 Request, Response 일어나 Response로 처리완료되었다고 사용자에게 웹페이지로 보여준다.

중요해!!
2번의 과정에서,
웹브라우저에서 웹 서버로 폼 데이터를 넘길때 GET / POST 방식이 사용된다.
GET방식은 이름,값 형태로 URL에 포함되어 전송되기때문에 GET 방식은 보안에 취약하다
즉 URL에 데이터정보를 넣어서 전송하는 방식이다.
1024BYTE로 크기를 제한한다.
POST 방식은 데이터를 별도로 첨부하여 전달하는 방식이다.
HTTP 헤더 속에 감춰서 전송하기 때문에 보안에서는 우수하지만 , 속도 느리다.지정된 리소스에서 처리, 쓰고, 수정, 삭제할 때 사용, 데이터의 용량의 제한이 없다 그리고 폼을 전송할 때, HTTTP 방식의 기본 값이 GET이므로 METHOD 속성 생략 가능하다.

FORM 태그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는 양식을 포함하는 최상위 태그이다.

  • <form 속성1="값1" [속성2="값2"]>
  • form 태그의 모든 속성은 필수가 아니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폼을 전송할 HTTP 방식의 기본값은 GET , 그래서 METHOD 속성 생략가능
    -METHOD 속성은 GET / POST 방식
    INTPUT 태그
  • 사용자가 텍스트 입력 / 선택 등을 다양하게 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만드는 태그이다.
  • <input 속성1="값1" [속성2="값2"]>

웹 프로그래밍 때 다루지 않았던 속성
1. hidden : 보이지 않게 숨겨서 값을 전송할 때 사용한다.
2. sumbit : 폼에 입력된 값을 모두 쵝화할 때 사용한다.

SELECT 태그

  • 여러개의 항목이 나타나는 목록 상자에서 항목을 선택하는 태그
  • 시작 태그와 종료 태그가 있으며, 리스트 박스에 여러 항목을 추가 삽입하기
    위해 반드시 option 태그를 포함해야 함.

    request 내장 객체

JSP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 중 하나
request 내장 객체는 웹 브라우저가 서버로 보낸 요청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어
getParameter() 메소드를 이용하여 요청 파라미터의 값을 얻을 수 있다.

String 변수 = request.getParameter(요청 파라미터 이름);


이부분 강조
첫번째 사진에서는 취미 3개를 name=hobby로 묶었다.
두번째 사진에서는 이를 hobby를 배열로 받는데,Values(값을 3개로 넘겼기때문에)로 받는다.
여기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취미 부분을 보여주는 부분에서 hobby는 배열로 받았기 때문에

위 사진같이 받아야 한다.
여기서 두가지 포인트는 request의 내장함수의 getParameter라는 것
그리고 위 사진과 같이 배열로 받는 것

요청 파라미터의 전체 값 받기

요청 파라미터 설정하지 않아도 모든 값 전달 받기 가능,
다양한 유형에 대해 한번에 폼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일괄 처리 메소드 )

  1. getParameterNames() : 모든 입력 양식의 요청 파라미터 이름을 순서에 상관없이 열거형 형태로 전달받는다.
  2. hasMoreElements() : 열거형 요소가 있으면 true 반환, 그렇지 않으면 false 반환
  3. nextElement() : 열거형 요소 반환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