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요즘 IT의 Core Web Vitals에 관한 글을 읽고 정리한 내용이다.
낮은 품질의 성능을 가진 웹사이트의 경우 사용자 경험을 악화시키고
이는 사용자 이탈율 증가로 수익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기능' 제공이 아닌 양질의, 성능 좋은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Core Web Vitals 란 성능 최적화를 위해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도록 돕는 지표이다.
이를 준수해 웹사이트를 개발하면 성능은 물론 검색 엔진 최적화까지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웹페이지를 로드할 때 페이지의 가장 큰 콘텐츠 요소가 브라우저 화면에 얼마나 빨리 렌더링 되는지 측정하는 지표 (이미지, 비디오, 텍스트 박스 등)
빠른 LCP는 사용자가 페이지를 보다 빠르게 파악하고 상호작용 할 수 있게 함.
웹 페이지에서 요소들의 이동이나 크기 조정 등 레이아웃이 예상치 못하게 변경되는 빈도와 양을 측정하는 지표
웹페이지의 레이아웃이 변경되는 경우 스크롤 위치나 버튼 위치 등이 예상치 못하게 바뀌어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거나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 경험을 저해할 수 있음.
웹페이지 성능, 접근성, SEO, PWA(Progressive Web App)등을 측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음.
웹페이지 로딩 속도 측정 및 최적화 방법 제시
PageSpeed Insight의 경우 모바일 기기에서의 웹페이지 성능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반면 LightHouse는 성능 및 접근성, SEO, PWA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품질을 측정하는데 사용.
웹 개발 및 디버깅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도구 모음. Network 탭에서 웹페이지 성능 측정 및 디버깅을 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