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도메인

김민재·2021년 7월 21일
0

Gotcha Linux!

목록 보기
20/22
post-thumbnail
post-custom-banner

도메인 기본 개념


브라우저에 구글 닷컴 이라고 쓰고 엔터를 치면 실제로는 ip address를 통해서 접속이 이루어진다. 구글 닷컴 이라고 하는 도메인 네임 만으로는 접속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이 컴퓨터가 미리 알고 있는 dns 도메인 네임 서버 라고 하는 이름을 가진 dns 서버에 ip로 접속한다.

dns 서버에게 구글 닷컴 ip address를 물어보고 dns 서버가 ip address를 컴퓨터에게 돌려주면 이 컴퓨터는 그때서야 이 ip address를 통해서 접속을 해서 구글 닷컴에 커넥션을 맺는다.

Linux - Domain 2 hosts

도메인 네임서버 라는 것이 있기 전에 이전엔 호스트스라는 파일이 있었다.
hosts 파일은 어떤 도메인이 어떤 ip는 정보를 갖고 있는 파일이다

즉 각각의 컴퓨터 인터넷을 사용하는 컴퓨터마다 그 컴퓨터의 호스트 파일 이라는 것이 있어서 어떤 특정한 도메인으로 접속할 때 도메인 네임 서버 라는게 등장하기 전에 네임서버 에게 물어 보는 것이 아니라 호스트 토스트 파일의 적혀 있는 도메인의 ip 를 보고 그 ip 를 가지고 접속을 했던 시절이 있었다.

도메인 네임을 마음대로 변조하여 구글 닷컴 이라는 도메인으로 접속을 했을때 구글의 홈페이지가 열리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웹 서버에 내용이 출력되게 할 수가 있다


호스트 파일에다 구글 닷컴이 127.0.0.1라고 적어 놓아 컴퓨터가 구글 닷컴으로 접속하면
etc 밑에 호스트 파일을 뒤져 파일에 적혀있는 내용 중에 구글 닷컴이 있는지 보고 있다면
거기에 적혀있는 127.0.0.1을 가지고와서 접속을 한다. 호스트츠 파일에서 확인을 했기 때문에 dns 서버는 접속을 하지 않는다
만약에 호스트 파일에 접속하려고 하는 사이트의 내용이 없으면 그때 dns 서버에 접속해서 최종적으로 ip address 알아내는 것이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라고 하는 관계성은 요청하는 쪽이 클라이언트 응답하는 쪽이 서버라고 브른다 그런데 이 인터넷에 참여하고 있는 각각의 컴퓨터 한대 한대를 호스트라고 부른다. 그리고 그 호스트와 호스트 각각의 컴퓨터가 모여 있는 것들을 묶어서 네트워크라고 부른다. 세상에는 존재하는 많은 네트워크들이 있고 그 네트워크들이 모여있는 전체적인 집단을 바로 인터넷이라고 부른다.

etc 밑에 있는 호스트은 어디에 활용 할 수 있는가

운영하고 있는 서버가 있고 서버는 도메인의 등록이 되어 있어서 사람들이 도메인을 입력하면
입력하면 이 특정한 서버로 방문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때 서버에 결함이 생겨서 서버에 내용을 바꾸면 서버쪽에 수정한 내용을 바로 반영했다가는
실수가 있을 수도 있다

이럴 때 자기 컴퓨터에서 개발 환경에서만 etc 밑에 있는 호스트 파일을 자기 컴퓨터로 수정한다. 그렇게 되면 자기 컴퓨터에서는 egoing.ga라는 주소가 자기 컴퓨터 자신을 가리킬 수 있다. 하지만 호스트 파일을 바꾸지 않은 사람들은 원래의 이 서버에 접속하고 있을 것이다.

이렇게 어떤 특정한 도메인의 ip 를 자기만 좀 변주해서 써야 되는 경우에 굉장히 편리한 것이 바로 hosts 라고 하는 내용이다.

Domain 3 purchase

서브 도메인

domain 작동원리

예 그래서 우리의 클라이언트의 연결 된 우리의 dns 서버는 반드시 루트
dns 리스트를 알고 있습니다
그것은 프로그램의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어요 루트 dns 는 바뀌지 않기
때문에 잘 안 바뀌니까
뭐 바뀐다고 하더라도 추가되는 방식으로 바뀌겠죠 예 그래서 이 dns
서버는
루트 dns l 이스트는 알고 있다 라는걸 여러분이 이해하는 게 첫 번째
스탭 이에요

profile
자기 신뢰의 힘을 믿고 실천하는 개발자가 되고자합니다.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