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째, 명령어를 통해 제어한다. 즉 문자를 입력해서 명령을 한다.(command line interface, cli)둘 째, 내리는 명령은 현재 머물고 있는 디렉토리를 대상으로 내려진다.⁛ 따라서 명령을 내릴 땐 현재 어떤 디렉토리에 머물고 있는지 기억하고 있어야 한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서는 메뉴얼을 찾아보면 된다.사용 설명을 확인하는 방법은 두가지이다.1\. --help : --help명령어 앞에 궁금한 명령어를 적어준다. 화면을 빠져나가지 않고 간단한 메뉴얼을 보여준다.2\. man : man명령어 뒤에 궁금한 명
리눅스 unix계열의 운영체제들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가 바로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다.다중 사용시스템에서서는 권한이 존재한다. 운영체제에는 permission이 각각의 사용자마다 할 수 있는 일과 없는 일이 정해져있다.\-이러한 이유로 인해 super user, r
IO의 I는 Input, O는 Output 약자로 입력과 출력을 의미하며Redirection은 방향을 바꾼다는 의미를 가진다. 보통은 화면으로 output, 출력되는 것이 기본이지만 그 출력되는 방향을 우리가 다른 곳으로 돌려, Redirection하여 파일에 저장시킬
shell과 함께 보면 좋은 개념 Kernel(커널) -Kernel(커널)이라는 것은 알맹이, 핵심, 코어. 뭐 이런뜻이 있고 -Shell(셸)이라고 하는 것은 껍데기, 주변이라는 뜻이 있다 하드웨어라고 하는 것이 여러분의 컴퓨터의 기계적인 부분들, 메모리라든지,
명령어 시스템에서는 디렉토리라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데 디렉토리는 어떤 데이터 또는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정리정돈하는 수단이다.<기본적인 리눅스 또는 유닉스 계열의 디렉토리 구조>1./ - Root : 슬래시는 최상의 디렉토리로 컴퓨터의 저장장치 데이터를 저장
파일 찾는 법 - locate 와 find 파일은 두가지 용도로 사용된다. -첫번째는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한 용도 -하나는 해야 될 일에 대한 어떤 명령을 보관하고 있는 실행파일로 구분이 된다. locate : locate 명령 뒤에다가 찾고자하는 파일의 이름 적
프로세스가 무엇인가? 이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현재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도<하드웨어에 대하여>사진 속 제일 밑에 있는 장치들은 SSD, HDD, SD카드 즉 저장장치, 영어로는 Storage스토리지라고 부른다.사진 속 가운데 장치는 램(RAM)이라 부르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독특한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는데요.작업을 왔다갔다 하면서, 수행하는 것을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이라고 한다.여러 개의 일을 하나의 화면에서 할 수 있다 뜻으로 해석된다.즉, 백그라운드와 포그라운드를 왔다갔다사용하는 프로그램을바꿀 수
데몬이라고 하는 형태의 프로그램들은 항상 실행되고 있다라는 특성을 갖고 있다.반면 ls, mkdir, rm과 같은 프로그램들은 필요할 때 켜고 필요 없을땐 꺼져 있는 상태를 가진다.데몬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은 여러가지 종류 중 대표적인 것은 소위 서버라고 불리는 프로그램
정기적으로 명령을 실행시켜주는 소프트웨어이다.시스템을 운영하다 보면 정기적으로 해야 될 일들이 있는데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백업한다든지 또는 어떤 특정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전송한다든지 등 이러한 정기적으로 해야될 작업들을 처리해야 될 경우에 크론 프로그램을 통해서 목적을
셸에 접속했을 때, 셸이 시작됐을 때 어떤 특정한 명령어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는방법셸에서 접속했을 때 어떤 특정한 명령어가 실행되는 것을 셸의 스타트업 설정 또는 스타트업 스크립트라고 한다.셸이 실행됐을 때 실행됐으면 하는 명령 중 대표적으로 alias가있다.ali
다중 사용자 시스템 여러 명이 컴퓨터를 같이 사용하게 되면 점점 각자의 비밀이 생기고 또 각자가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들에 대한 권한이 생기면서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 기능성을 갖게 돼야 되는 상황이 오게 되었다. 각자의 아이디로 로그인해서 컴퓨터를 사용할
위 사진처럼 세 개로 삼등분하면첫 번째 구간은 자기 자신, 이 파일의 소유자, owner의 권한을 의미한다두 번째는 group의 권한을 의미한다.세 번째는 other, 이 시스템에 있는 모든 사용자가 저 파일에 대해서 갖는 권한을 의미한다.여기에서 rw는 이 파일의 소
파일이 있으면 파일을 만든 사람을 뭐라고 하냐면 유저(user) 라고 부른다.그때, 이 파일의 유저 권한을 R 을 주면 이 유저는 파일에 대해서 읽을 수 있고 W를 추가로 주면 이 파일에 대해서 수정할 수 있고 X 를 주면 실행 할 수 있다.이 유저말고 다른 사람, 이
(인터넷) 또는 network(네트워크) 또는 server(서버)두 대의 컴퓨터가 있다면 노트북, 나의 컴퓨터이고 그리고 다른 한대의 컴퓨터는 어딘가에 있는 어떤 구글의 컴퓨터이다.우리 컴퓨터에서 인터넷을 이용한다라고 했을 때인터넷을 이용하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이 설
웹 서버를 리눅스에 설치하면 컴퓨터는 그 한 대의 제한에서 벗어나서전 세계에 있는 웹 브라우저가 있는 사람이라면 내 컴퓨터에 접속해서 갖고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된다.인터넷은 클라이언트 또 하나는 서버로 이루어져 있다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요청을 그리고 서버는 클라
자신의 이 컴퓨터를 통해서 인터넷 너머에 있는 서버 컴퓨터를 원격 제어를 해야 되는 거예요.그 경우에 ssh라는 것을 쓴다.아마, 원격 제어 써보신 분들 많을 거예요. 대표적인 걸론원격 제어를 쓰게 되면 원격에 있는 컴퓨터를 인터넷으로 마치 앞에 있는 컴퓨터처럼 다룰
포트란 무엇인가? ip주소 뒤에 생략할 수 있는 저 숫자가 포트이다. ssh 중간에 다가 -p 22, port를 의미하는 옵션과 포트번호를 함께 입력해주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ssh 라고 하는 방식은 22번 포트를 쓰기에 가능하다. 모든 컴퓨터에
브라우저에 구글 닷컴 이라고 쓰고 엔터를 치면 실제로는 ip address를 통해서 접속이 이루어진다. 구글 닷컴 이라고 하는 도메인 네임 만으로는 접속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이 컴퓨터가 미리 알고 있는 dns 도메인 네임 서버 라고 하는 이름을 가진 dns 서버에
싱크는 어떤 특정 컴퓨터에 있는 내용을 다른 컴퓨터로 올려 서로의 변경 사항이 이쪽에 반영되어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싱크는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싱크 앞에 붙은 r은 리무트, 원격으로 서로 독립되어 있는 곳에 있는 컴퓨터들끼리 인터넷을 통해서 네트워크
ssh 공개키 비공개키를 이용한 로그인 방컴퓨터 두 대 컴퓨터, 한대는 이름이 리눅스1 이고요, 또 한대는 이름이 리눅스2 입니다.그리고 리눅스 1의 아이피는 ip addr는 192.168.0.65, 리눅스2의 ip addr는 192.168.0.67로 서로 ip가 다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