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Polling / Long Polling / Streaming

김민재·2024년 4월 9일
0

TIL

목록 보기
150/172

모두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며, HTTP 요청과 응답에 Header가 같이 전달되는데 이 Header에 많은 데이터가 들어있어서 너무 많은 요청과 응답의 교환은 부담을 준다.

Polling이란?

  • 클라이언트가 일정한 간격으로 서버에 요청을 보내서 결과를 전달받는 방식
const POLL = 1000;

setInterval(()=>{
  fetch('location'), POLL})
  
  • 장점: 구현이 쉽다.

  • 단점

    • 1초마다 위치를 받아올 수 있다.
    • 서버의 성능에 부담이 간다.
    • 주기가 길면 실시간성이 좋지 않다.
    • 서버에서 바뀐 데이터가 없어도 계속 요청을 하고 결과를 보낸다.

Long Polling이란?

  • Polling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생긴 것

  • 롱 플링도 폴링처럼 계속 요청을 보낸다. 하지만 롱폴링은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타임아웃이 발생할 때만 응답을 주게된다.

  • 실시간 메시지 전달이 되고, 서버의 상태 변화가 자주 발생하지 않는 서비스에 적합하다.

Streaming이란?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끊기지 않는 연결상태에서 계속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profile
개발 경험치 쌓는 곳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