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stom TableViewHeaderView를 구현하고,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해보자.
오늘은 WWDC 2020에서 iOS 14에서 UICollectionView에서의 변화에 대해서 포스팅 해 볼 예정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iOS에서는 어떻게 네트워크 통신을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리가 사용하는 앱 중에서는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거나, 현재 위치를 사용하는 앱들이 있다. 이러한 기능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WWDC 2019 Architecting your app for multiple window 영상에 대해서 알아보자!
strong reference cycle은 class 객체의 프로퍼티에 closure를 할당하고 이때 closure의 body가 객체를 capture 한다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해결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이번 포스팅에서는 Apple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concurrent programming을 할 수 있도록 기능들을 제공하는지와 이러한 기능들이 생기게 된 이유에 대해서 다루게 됩니다.
중요한 개념 중에 하나인 block/non-block, sync/async에 대해서 알아보자.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포스팅에서 예고했던 대로 Bootstrap Program, Operating System, Interrupt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려고 한다.
이번 포스팅은 운영체제 공룡책의 Chapter1 Introduction 부분으로 책 전체 내용이 전반적으로 담겨있는 가장 중요한 chapter이다. 어떠한 내용들을 다루게 될 지 알아보자.
본격적으로 운영체제(OS)에 대해서 다루기 전에 미리 알아두면 좋은 개념들에 대해서 포스팅 해볼 예정이다.
Swift에서 ARC(Automatic Reference Counting)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Swift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if와 guard의 사용에 대해서 한 번쯤은 고민을 해봤을 것 같다. 이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사용의 기준을 정해보려고 한다.
iOS에서 Dynamic Type은 사용자들의 Accessibility를 증가시켜 줄 수 있는 부분으로서 꼭 알아두어야 할 중요한 개념입니다.
지난 포스팅은 WWDC 2016 Understanding Swift Performance 영상에서 reference counting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 지난포스팅이 궁금하신 분들은 여기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