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D를 시작하기 전에도 원래 개발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걸 좋아했다. SOPT 29기, UNIT UPF, 멋쟁이사자처럼 대학 8/9기 등..그러나 21년 하반기에는 건강 상의 이유로 개발 커뮤니티 활동은 쉬고깊이 있는 공부를 위해 프로그래머스 데브코스 과정에 집중하여
이 책을 찾기 전.. 개인적으로 프론트엔드 공부를 하면서 여러 서적을 봤었다. React를 다루는 기술, Do it! React Native,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등 프론트엔드에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에 관한 책을 보면서 헷갈렸던 단어를 정복하기
본 포스팅은 UPF 2021FW를 통해 이지스퍼블리싱의 도서 'Do it! 타입스크립트 프로그래밍'을 무상제공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책을 읽기 전.. 나?
😎 4주차 주요내용 이번 4주차는 VanilaJS를 활용한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해보았다. 3주차에서 배운 컴포넌트로 나누어 React처럼 사용하는 VanilaJS를 이용해서 TO-DO-LIST를 구성했다.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테스팅과 관련된 내용을 찾아서
😲 주제를 선정하며 그동안 단순하게 Webpack이 있다. 라고만 알고 있었는데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확실하게 정리해보았다. Webpack은 왜 생겼을까? 웹팩이 생기기 전, 웹 사이트는 다양한 이슈와 페이지 로딩 속도 저하 등 여러 가지 고려 할 사항이 많았
🍧 3주차 주요 내용 이번 3주차는 1, 2주차에서 배운 선언형/함수형 프로그래밍 방식의 VanilaJS을 학습했다. 데브코스를 지내기 전, VanilaJS를 대강 배우고 React를 활용하면서 Javascript의 기초 지식 애로사항이 많았었는데 이번 강의를
이번 2주차 내용으로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배웠다.그동안 객체지향 프로그래밍만 접한 나에게는 새로웠고 신기했다.이렇게 코드가 직관적이고 간단하게 보이다니 🙉...그만큼 어려웠던 파트였고, 실전으로 다루기에는 아직 많이 부족하다.그래서 이번주는 함수형 프로그래밍과 지연
🤔웹 스토리지 (Web Storage)가 뭐야? 기본적인 웹 구성은 Client-Server로 나뉘게 되며 서버단에는 Database가 존재한다. 보통 정보 저장은 Database에 하게 된다. 그러나 일부 정보를 상태 유지 하기 위해서 Client 단에 저장
우리 아이디어는? 우리는 그동안 필요한 아이디어를 도출하려고 기획/디자인 단계에서 정말 많은 시간을 사용해 골머리를 앓았다. MVP모델 구성, 시장 조사 등 개발보다 전체적인 기획과 디자인 구성에 정말 많은 시간을 쏟아부었고, 성공적이였지만 스트레스는 거대했다.
취업이 두려운 졸예자... 벌써 어느덧 마지막 4학년 2학기를 앞두고 취업 준비에 있다. 학생이라는 방패가 더 이상 불가능한 시점이 온다는 것에 두려웠다. 그 와중에 코로나의 여파로 경제는 점점 더 힘들어지고 인턴 자리는 점점 좁아지고.. 현재 상황에 대해 고민이
어느덧 4학년 1학기 종강을 하고 한 학기 남은 상태이다.여전히 대학생 연합 IT동아리 멋쟁이사자처럼 동아리를 주 2회 교육 세션을 진행하면서 열심히 활동하고있다.그러면서 동시에 취업을 위해 리쿠르팅과 취업을 위한 코딩테스트 스터디를 하고 있었다. 현재까지 3달 정도
해당 글은 UNIT의 UPF 프로그램 회고 입니다. UNIT Facebook 😐 2021년 첫 개강 이후 나를 포함한 개발 동아리 친구들은 코로나에 지쳐있던 상태였다... 그러면서 동아리 친구들의 학년은 벌써 3, 4학년이 되었고 의미있게 보내고싶었다. 공모전을
해당 프로젝트는 링크를 참조해주세요.2021년 2월 말, 멋쟁이사자처럼 대학 전체 모집이 시작되었다.보면 볼수록 저 작은 사진 디자인 맘에든다.전국 대학교 멋쟁이사자처럼 동아리에서,같은 시기, 같은 시간에 학교 통합 지원으로 이루어진 사이트이다.해당 사이트를 통해 지원
Wemory_메인 해커톤을 지원하기 전.. 멋쟁이사자처럼 9기를 운영하면서 같은 운영진끼리 협업 할 기회가 별로 없어서, 목표를 정해서 해커톤/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었다. 그렇게 후보로 정했던 해커톤은 두 가지였다. 핀테크와 정부 혁신 개혁 프로젝트 「제5
본 서평은 제이펍로부터 무상제공 받아 작성되었으며, 개인 의견만이 담긴 서평입니다.맨 처음 마주했을때, 책 제목과 귀염귀염한 표지에 마음이 끌렸다.그러면서 애자일 이라는 주제로 이목을 끌었다.말 그대로, 날렵하고 민첩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우리가 해야 하는 것은 개발
다중 도커 컨테이너를 서로 간의 연결/실행을 하게 도와주는 도구입니다.우리의 docker-compose.yml 파일에 대한 구성 컨테이너이다.추가적으로 포트매핑을 해주어야 한다.기존 두 컨테이너는 서로 연결 시켜줄 수 없는 것을,docker-compose를 이용해서 한
도커 이미지 생성 순서 1. Dockerfile 작성 > DockerFile 이란? Docker Image를 만들기 위한 설정 파일. 컨테이너가 어떻게 행동해야하는지 대한 설정을 정의함. 2. Docker 클라이언트 전달 Docker 서버 전달 Image 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