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역변수 or 함수 범위로 지정재선언 가능, 업데이트 가능greeter은 전역변수로 정의되어있고, hello는 newFunction()함수내에서 정의되어있다. 이때 log띄워보면 greeter은 전역변수여서 log가 나타나지만, hello의 경우 함수내의 변수이기 때문
: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한 후 응답을 보내면 그 연결을 끊어버림즉, 클라이언트가 request를 서버에 보내면,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요청에 맞는 response를 보내고 접속을 끊는다.헤더에 keep-alive라는 값을 줌으로써 커넥션을 재활용하는데, HTTP1.1에
요청과 결과가 동시에 발생→ 요청을 하면 시간이 얼마나 걸리든지 상관없이 요청한 자리에서 결과가 주어져야 한다.→ 즉, 요청에 따른 응답을 사용자에게 다시 전송하기 전까지 사용자는 다른 활동이 불가능하다.요청과 결과가 동시에 발생X시간이 오래걸리는 일을 요청했을 경우,
Restful API 설계하면서 가끔 헷갈려서 제대로 정리해보고자 작성한다. 주로 사용되는 100, 200, 201, 400, 403, 404, 500 정도만 알고있었는데 찾아보니 굉장히 종류가 많다😶😶 아마 주로 이용되는것만 명확하게 알아도 되지 않을까 ..?그래
JWT 개념 Json 포맷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속성을 저장하는 Claim 기반의 Web Token이다.
해결한 지금 상황에서 봤을 땐, 되게 별거 아닌데 해결하기 전까지는 답을 모르겠어서 프론트 하는 사람과 같이 너무 많이 해맸다🥹🥹 그리고 이제와 떠오른건 EC2를 왜 안썼을까 ... 라는 생각.. 💡상황1 (이미지 받기+저장) > - 클라이언트측 요청: 여러가지
객체 접근 방법 TS + React + Recoil 환경의 개발을 진행하던 중, 기본적인 문제에 부딪혀 한번 짚고넘어가기 위해 글을 작성한다. 👀오류발생하는 부분을 확인해보자 RecoilState 정의하는 atom.tsx SignUpForm.tsx 여기서
✔️SPA : Single Page Application 하나의 HTML 페이지와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JavaScript와 CSS와 같은 모든 리소스를 로드하는 애플리케이션 쉽게 말해, 그 전에는 웹을 보여줄 때 여러 페이지로 구성되어있었다. 이러한 방식은 페
사실 굉장히 쉽게 접할 수 있으면서도 한번 짚고 넘어가면 그 이후로는 접하지 않을 문제지만, 타입스크립트의 기본 개념과 접하는 오류이기 때문에 정리를 하고자함 !구현된 코드의 의도1\. 부모 컴포넌트에서 string\[]타입의 textList 변수를 자식 컴포넌트로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