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간단하게 하이퍼레저를 이해하려면 앱(클라이언트, 사용자), 피어, 오더러 이 세 가지를 알면 된다.
단축 평가란? 논리 연산의 결과를 결정하는 피연산자를 타입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반환하는 것
독립적인 객체의 집합으로 프로그램을 표현하려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다.
자신을 포함하고 있는 외부함수보다 내부함수가 더 오래 유지되는 경우, 외부 함수 밖에서 내부함수가 호출되더라도 외부함수의 지역 변수에 접근할 수 있는데 이러한 함수를 클로저(Closure)라고 부른다.
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를 100문제 가까이 풀었지만 정작 알고리즘 자체에 대해서는 그냥 코딩으로 문제를 푸는 방법이겠거니 하며 풀었다. 알고리즘과 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에 대해 이론적으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자바스크립트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자바스크립트를 구성하는 거의 '모든 것'이 객체다. 그래서 자바스크립트를 이해하는 데는 객체를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객체가 무엇인지는 대충 알고 쓰고 있었지만 다시 한 번 정리하며 완벽히 이해하려 한다.
JSDoc은 자바스크립트 API 문서 생성기다. 자바스크립트 소스코드에 JSDoc 형식의 주석을 추가하면 **API를 설명하는 HTML 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JSDoc 주석은 `/** ... */` 사이에 기술한다.
스타일링을 하다가 z-index가 적용되지 않아서 구글링해서 발견한 z-index의 규칙을 정리해보았다. 단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1단계부터 읽어도 되지만 순서 상관없이 4번이나 7번부터 읽어도 상관없다.
스타일링을 함에 있어서는 원하지 않는 기본 스타일이 적용 될 수 있으므로 reset으로 **기본적인 태그의 스타일을 초기화** 하여 원하는 스타일로 적용시킬 수 있다. 그 중에서 유명한 `reset.css`와 `normalize.css`에 대해 알아보자.
원티드 5월 프론트엔드 챌린지를 하면서 모노레포에 대해 알게 되었다. 모노레포란 무엇인지, 이와 반대되는 멀티레포는 무엇인지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