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내용은 유튜브 널널한 개발자 TV 채널을 보고 정리한 것입니다.
MTU와 Packet 단편화
MTU(Maximum Transmission Unit)의 단편화는 왜 발생할까?
위 그림에서 라우터 1번과 3번은 MTU가 1500이지만 라우터 2번의 MTU가 1400이다.
라우터 1번에서 2번으로 넘어갈 때 MTU 사이즈가 작아지기 때문에 단편화가 발생한다.
단편화가 될 경우 MTU 1500 의 데이터 부분을 A/B로 자른다.
하나의 패킷에서 IP헤더, TCP헤더에서부터 데이터의 A부분까지 자른다.
그리고 IP헤더를 복사한 뒤 데이터의 B부분에 붙이고 Offset 값이 설정된다.
Offset을 이용해 A와 B를 재조립할 수 있다.
두개로 쪼개진 패킷은 라우터 1,2,3을 거쳐 서버로 간다.
그렇다면 나중에 분할된 패킷들을 다시 재조립해야하는데 재조립은 어디에서 할까?
어디에서 할지는 선택사항이지만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쪽(여기에서는 서버)에서 하게 되어있다.
수신측에서 다시 재조립을 하는 것은 힘들고 비효율적인 일이므로 단편화는 하지 않는 것이 제일 좋다.
2022년 현재에도 단편화가 발생할까?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발생하게 된다면 왜 발생할까?
IPSec VPN(Internet Protocol Security를 이용하는 VPN)때문에 발생한다.
IPSec VPN에 대해서는 지금 알기에는 너무 복잡하니까 네트워크를 더 공부하고 알아보도록 해야겠다.
단편화가 안 나게 하려면 MTU 사이즈가 가장 작은 것에 맞춰 하향평준화하는 것이다.
그리고 네트워크 성능 측정 단위에는 pps(packet per second)라는 것도 있는데,
pps는 패킷의 개수로 성능을 측정한다.
패킷 단위로 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pps를 떨어뜨리는 것이 중요하다.
단편화된다는 것은 pps 증가요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