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우 간단하다.
pip install tensorflow==1.15 입력 후 jupyter notebook을 실행하면 바로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pip freeze를 통해 tensorflow 및 그 외 라이브러리 버전 확인 가능
'> pip uninstall tensorflow : 삭제
새로운 가상환경 만들기 : conda create --name tensorflow1.x python=3.7
생성된 가상환경 확인 : conda info --envs
가상 환경에 진입(활성화) : conda activate tensorflow1.x
tensorflow 1.15버전 설치 : conda install tensorflow==1.15
텐서플로(TensorFlow)의 설치가 완료되면, 파이썬(Python)을 실행해서 설치된 텐서플로(TensorFlow)의 버전을 확인한다.
> python(파이썬 실행)
>>>> import tensorflow as tf
>>>> tf.__version__
>>>> exit()
이후 필요한 라이브러리들 추가로 설치
가상환경 비활성화 : conda deactivate
파이참에 anaconda 연동해서 tensorflow 실행
(base)에서 conda info --envs 명령어를 통해 가상환경 폴더의 위치 확인
New Project를 통해 Create Project 화면으로 들어간 뒤, Previously configured interpreter를 선택 후, 맨 오른쪽에 '...'선택
Conda Environment 선택, conda info --env 명령으로 확인한 경로에서 python.exe를 찾아 연결한다.
연결된 것을 확인후, 생성한다.
정상적으로 실행됨을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