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값을 구하는 목적이므로, 각 연산을 저장할 배열을 초기화 할 때 Integer.MAX_VALUE
로 int 최댓값 넣어 초기화 한다.
처음부터 시작하여 보도블럭을 밟을 때 B -> O 또는 O -> J 또느 J -> B 로 밟을 수 있으므로 이를 체크하는 메서드를 만든다.
보도블럭을 밟을 수 있다면 에너지를 계산하는데, 에너지는 거리의 차를 제곱한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String blocks = br.readLine();
int[] dp = new int[N];
Arrays.fill(dp, Integer.MAX_VALUE);
dp[0] = 0;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i + 1; j < N; j++) {
if (canJump(blocks.charAt(i), blocks.charAt(j)) && dp[i] != Integer.MAX_VALUE) {
int energe = (j-i) * (j-i);
dp[j] = Math.min(dp[j], dp[i] + energe);
}
}
}
if (dp[N-1] == Integer.MAX_VALUE) {
System.out.println(-1);
} else {
System.out.println(dp[N-1]);
}
}
private static boolean canJump(char from, char to) {
if (from == 'B' && to == 'O') return true;
if (from == 'O' && to == 'J') return true;
if (from == 'J' && to == 'B') return true;
return false;
}
}
N^2 의 시간복잡도를 가지지만 N 의 최대 수가 작기 때문에 가능하다.
DP 로 접근해야 함을 이해했지만, 시작을 어떻게 해야할지 감이 오지 않았다.
많이 푸는게 무조건 답인 거 같다. DP 문제를 더 많이 접근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