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에서는 \[놀라움에서 두려움으로, 그리고 그 너머: Chat GPT 로 코딩 해본 경험 이번 글은 Chat GPT 로 결과물을 만드는 과정과 그 과정에서 느낀 점들을 간단하게 공유하고자 한다.내용이 다소 길므로 이렇게 Quote 안에 들어있는 내용만 봐도 무방할
최근 직장 동료가 Chat GPT 로 작성한 코딩 예시를 보게 되었다. 처음에는 그냥 간단한 예시정도로 생각했지만, 실제로 작성된 코드를 보니 굉장히 놀라웠다. 이 정도면 앞으로 개발자가 할 일이 없어지겠구나. 모든 것이 AI 로 대체 될 것이란 걱정까지 들었다.
학습용 사이드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만해도 90점대 성능 점수를 보였는데 오랜만에 측정한 Performance 점수는 매우 낮아져 있었다. 이번 글은 성능 이슈의 원인이었던 LCP를 아주 간단히 개선했던 사례를 소개하려고 한다.
음력 달력에 날씨 표기 하는 작업을 하고난 후 바로 인지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자꾸 어제날짜부터의 예보가 나오는 것이었다.다행히 금새 머리속으로 생각이 스쳐갔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어떤 문제였을까?개발 환경에서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인지하지 못했던
달력에 날씨 정보를 보여준다면 좀더 직관적으로 날짜 별 날씨 변화를 인지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번 내용은 사이드 프로젝트에 공공데이터 포털 API 를 활용하여 달력에 단기 예보 보여주는 작업 진행 중 겪었던 이슈들과 해결 방안 그리고 기상청 데이터를 어떤 방
Next.js 13 에서는 기존 page/ 디렉토리와 유사한 형태로 app/ 이라는 것을 소개하였다. 아직은 Beta 버전이라고 Production 에는 적용하지 말라고는 하지만 이건 내 개인 프로젝트니 한번 도입해 보기로 했고 어떤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정리하게
상태관리의 필요성 next.js 로 사이드 프로젝트 시작!에서 언급한 것 처럼 가변고 간단한 음력 달력 서비스를 만들어보았다. 만들고 나니 특정날짜를 선택하고 싶어졌다. 방법은 간단하다. 날짜를 선택하면 해당 날짜는 선택 상태로 이전에 선택된 날짜는 비선택된 날짜
next.js 로 사이드 프로젝트 시작 하면서 달력 자체를 만드는 것보다는 달력을 활용한 것을 만들어보고 싶었다. 그래서 기존 캘린더 라이브러리를 검토하게 되었다.마지막까지 고민했던 대상은 nhn 에서 만든 tui calendar와 react-big-calendar이다
이전 글 next.js 로 사이드 프로젝트 시작에서 결과물의 접근성 접수를 언급했다.당시에는 점수하락의 원인을 낮은 색대비율에서 찾았다.하지만 위 이슈와 함께 리포팅된 다음 이슈를 해결한 후에 큰 점수 상승이 있었다.roles are not contained by th
몇 차례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근데 회사일이 바쁘고 개인적으로 바빠져서 사이드프로젝트가 흐지부지 끝난 후에는 남는 게 없는 것 같아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얻은 경험을 기록으로 남겨보고자 한다.왠지는 모르겠는데 그냥 달력을 이용한 기능을 만들어 보고 싶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