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조건/계산 흐름을 한눈에 보는 것이 핵심이다. 쉬운 문제에서 계속 디비전에러로 고생하다가 이대로는 시험장에서 한문제도 못풀고 나올수도 있겠다는 생각에 이글을 작성했다.
앞으로는 전부는 아니여도 도식화와 의사코드를 작성하는 습관을 들일 것이다.
항목 | 예시 |
---|---|
입력 예시 | A=100, B=500 |
출력 목표 | 3의 배수 또는 3/6/9 포함된 숫자 개수 |
반복 흐름 | A~B 순회하면서 → 조건 만족 여부 체크 |
조건 분해 | (1) n % 3 == 0, (2) 자리 중 3/6/9 포함 |
구현 계획 | 숫자 순회 + 자리수 분리 (%10, /10) |
[입출력 구조]
[핵심 조건]
[반복 구조]
[예외 및 세부 조건]
[예시 흐름]
특징 | 설명 |
---|---|
핵심 요약 중심 | 입력, 출력, 조건, 반복 흐름만 한눈에 |
빠르게 초안용 | 문제 처음 접했을 때 1~2분 내 작성 가능 |
종이/화이트보드 낙서용 | 시험지 여백이나 연습장용 |
개요 파악 최우선 | 흐름을 '머릿속 구조'로 바꾸는 데 특화 |
언제 사용?
→ 문제를 처음 읽고 이해 흐름을 정리할 때
특징 | 설명 |
---|---|
반코드/반설계 느낌 | 바로 구현 전 흐름 점검용 |
예외 및 조건 분해 강조 | 자리수 분리, 반복 구조 등 세부까지 포함 |
디버깅 대비 | 틀릴 수 있는 조건까지 미리 정의 |
코딩 직전 구조 설계용 | 바로 코딩할 수 있는 설계도로 쓰임 |
언제 사용?
→ 초안 흐름 정리 후, 본격 구현 직전에 로직을 세분화할 때
단계 | 도구 | 설명 |
---|---|---|
1단계 | Paper Plan | 문제 흐름을 빠르게 파악하고, 머릿속 구조 정리 |
2단계 | 구조화 템플릿 | 세부 조건, 예외까지 포함한 설계로 구현 준비 |
3단계 | (선택) 의사코드 작성 | 구조를 기반으로 주석 or 간이 코드 작성 |
4단계 | 실제 구현 | 위에서 잡은 구조 따라 코드 작성 |
즉,
둘 다 쓰는 게 베스트지만, 실전 시간이 없다면 Paper Plan만으로도 큰 효과 있어 💪
시간이 여유 있다면 구조화 템플릿까지 쓰면 완성도와 안정성 Up!
상황 | 플로우차트 추천 이유 |
---|---|
흐름이 복잡한 조건 | if-else가 여러 겹 → 시각화로 정리 필요 |
디버깅 반복 경험 있음 | 어디서 막히는지 시각화로 추적 가능 |
구현 입문자 / 구조 익숙치 않음 | 조건, 반복, 분기를 '눈에 보이게' 정리하면 훨씬 잘 보임 |
면접/설명용 발표 자료 준비 | 말로 설명하는 것보다 플로우차트 하나면 이해도 급상승 |
상황 | 이유 |
---|---|
실전 시험 중 | 시간 제한 → 도식화는 간단한 표나 구조화 템플릿으로 대체 |
단순 조건 문제 | 반복 1~2회 + 조건 간단 → 플로우차트보다 코드가 더 빠름 |
구조가 머리에 명확히 그려질 때 | 굳이 그릴 필요 없이 바로 구현 가능 |
[Start] → [i = A to B]
↓
[isMagicNum(i)]
↓ ↓
true false
↓ ↓
[cnt++ (pass)]
↓
[End]
의사코드란? 실제 코드를 쓰기 전에 흐름을 '한국어 + 코드 형태'로 정리한 것.
디버깅 전에 구조를 짜보는 연습으로 강력 추천.
입력: A, B
cnt = 0
i를 A부터 B까지 반복:
i가 3의 배수이면 cnt += 1
아니라면 i의 각 자릿수 중에 3, 6, 9가 있는지 확인
→ 있으면 cnt += 1
출력: cnt
체크 항목 | 설명 |
---|---|
조건 누락 주의 | 도식화할 때 조건문과 예외도 꼭 적어야 빠진 로직을 막을 수 있음 |
과도한 도식화는 독 | 도식화는 연습 땐 3분, 실전에서는 1~2분 안에 끝내는 훈련 필요 |
예시 없이 도식만 | 예시 입력을 도식에 포함하면 흐름 체크가 쉬워짐 |
구현 연습 부족 | 도식화만 하고 코드 연습을 안 하면 구현력이 늘지 않음 |
단계 | 설명 |
---|---|
1단계 | 입출력 & 조건 흐름 도식화 |
2단계 | 예외 케이스, 디버깅 포인트 추가 |
3단계 | 의사코드로 흐름 점검 |
4단계 | 구현 후 시간복잡도, 자료구조 복습 |
실수 | 개선 습관 |
---|---|
구현 중 흐름 꼬임 | 도식화 + 의사코드 후 구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