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 포인터(Two Pointers) > 리스트에 순차적으로 접근해야 할 때 두 개의 점의 위치를 기록하면서 처리하는 알고리즘.
연속되고 + 가변적인 부분 배열을 활용1\. 2개의 포인터 변수 시작점이 배열의 시작점인 경우 (백준 2. 정렬된 배열 안에서 2개의 포인터 변수가 각각 시작점과 끝점에 위치한 경우 (백준 O(n) 의 시간복잡도를 가진다.투 포인트와 마찬가지고 연속되는 부분 배열을 활
가끔 마주할 때마다 매번 헷갈리는 정렬.. 백준 문제 풀며 정리해보았다.첫번째 기준은 x가 작은순으로, 같다면 y가 작은 순.오름차순이란 말.직접 클래스에서 @Override 하지 않고 쓰는 방법들이 있다.그 중 두가지.List 인터페이스에 작성된 메서드인 sort()
들어가며 반복문을 두번 돎리며 백준 문제를 하나 풀었는데, 알고리즘 분류를 보니 수학, 그리고 유클리드 호제법이 적혀있었다. 분명 언젠가 한 번 들었을텐데 뭔지 모르겠어서 찾고 정리해본다. 유클리드 호제법 > 2개의 자연수 또는 다항식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알고리즘.
그리디 알고리즘을 활용할 수 있는 문제에서 브루트포스로 풀다가 시간초과가 났다. 나름 정렬을 했다고 생각했는데, 정렬 기준을 잘못 잡았다는 게 문제였다. 그리고 활동 선택 문제라는 분류가 그리디 알고리즘의 대표적인 문제임을 알고 포스팅을 작성해보기로 한다.
소수인지 판별할 때 쓰이는 방법. 시간복잡도가 작아서 유용하다.
한 쪽을 기준으로 한 번 만에 전체 공간을 sweep, 쓸어오는 알고리즘. 기하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되는 알고리즘적 접근 방식.
스택: 후입선출(Last In First Out) 자료구조이다. 굉장히 많이 나오는 유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