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 <stdio.h> //stdio.h파일의 내용을 프로그램 안에 복사
int main(void) //함수 원형
{
10+20;
printf("Be happy"); //출력 함수
return 0;
}
제어 문자를 문자열 안에 포함시키면 그 기능에 따라 출력 형태를 바꾼다.
보통 \제어문자 형태로 사용한다
1) \n (new line) : 다음 줄로 이동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줄 바꿈의 역할을 함
printf("Be happy\n");
printf("123456");
Be happy
123456
의 결과가 출력된다.
2) \b (backspace) : 한 칸 뒤쪽으로 이동
printf("Goot\bd\tchance\n");
Good chance
의 결과가 출력된다.
\b로 한 칸뒤로 돌아가서 b 출력 후 \t로 탭의 위치에 가서 chance를 출력한다.
3) \r (carriage return) : 맨 앞으로 이동
4) \a (alert) : 벨소리
printf("Cow\rW\a\n");
Wow
의 결과가 출력된다.
\r로 맨 앞으로 이동하여 W로 바꾸고 \a에 의해 벨소리를 내고 \n에 의해 다음 줄로 넘어간다.
printf 함수는 기본적으로 문자열을 출력하므로 숫자를 출력할 때는 변환 문자를 이용한다.
변환 문자-> 정수 %d 실수 %lf
#include <stdio.h>
int main() {
printf("%d\n",10);
printf("%lf\n",3.4);
printf("%.1lf\n",3.45);
printf("%.10lf\n",3.4);
printf("%d와 %d의 합은 %d입니다.\n",10,20,10+20);
printf("%.1lf - %.1lf = %.1lf\n", 3.4, 1.2, 3.4 - 1.2);
return 0;
}
결과
10
3.400000
3.5
3.4000000000
10와 20의 합은 30입니다.
3.4 - 1.2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