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만 정리해서 올리는 포스팅이다.
(ex) a, b, c = [1, 6, 2] ▶ 1, 6, 2
방향을 따로 딕셔너리 만드는게 좋다
for _ in range(n)
dx, dy에 관한 리스트를 따로 생성한다.
방향에 관해서는 아예 딕셔너리로 따로 잡는다.
dir = {
'N': 0,
'W': 1,
'S': 2,
'E': 3
}
x,y축을 그려놓고 방향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자.
90도씩 회전할 때 마다 +, - 가 달라진다.
그리고 변화되는 것들은 계속해서 반복이 된다.
dir_num = (dir_num + 1) % 4
시계방향의 반대로 생각하면 된다.
음수가 나오는 경우를 고려해서 더하면 된다
dir_num = (dir_num - 1 + 4) % 4
arr_2d =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
2차원 배열에서 상하좌우의 존재를 확인하는 문제들이 있다. 이럴 때, 행과 열을 체크하여 가장자리에 있는지 확인하는 함수를 따로 만들어주어 이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