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주변에는 많은 가전제품들이 있습니다. 각각의 가전제품은 브랜드, 모델, 기능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전제품들은 클래스(Class)라고 할 수 있습니다. 클래스는 가전제품의 설계도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이제 우리는 특정한 가전제품 하나를 생각해봅시다
링크 : https://backlog.com/git-tutorial/kr/stepup/stepup1_1.html그림과 함께 굉장히 쉽게 설명이 되어있어 유용하다.
출처 : https://velog.io/@delilah/GitHub-Git-%EB%AA%85%EB%A0%B9%EC%96%B4-%EB%AA%A8%EC%9D%8C
## 목표 - 매달 이번달의 마지막째주 전 주 수요일에 톡을 보내야 한다고 햇을때 > 12월 - 12/21(수)에 발송 /// 1월 - 1/25(수)에 발송 매달 구체적으로 어떤날에 메시지를 보내야 하는 날짜를 구해놓아야 된다고 했을때 어떻게 구할지의 풀이과정과
디자인은 쉽게 말해 사용자 경험을 의미합니다. 사용자가 어떤 제품, 시스템, 서비스 등을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는 반응과 행동들과 같은 경험을 총체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UX 디자인입니다.디자인은 사용자가 제품을 어떤 방식으로 이용하도록 만드느냐를 디자인
예상했던 데로 var 와 비슷하게 재할당 및 재선언이 되서 value 가 바뀌는것을 알 수 있다.php 에서도 자바스크립트에서 쓰던 const 사용하듯이 상수를 사용할수 있도록같은 용도인지는 모르겠지만 define() 이 있기는 한데 아직은 사용이 익숙치가 않다.for
sql_query => 쿼리를 수행한다는 의미sql_fetch => 값처리/ 하나뽑기sql_fetch_array => 값처리 / 여러개뽑기 -for, while 추가사용
```php <?php echo '여기는 콘솔 로그 창이랑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 //console.log 랑 비슷하게 사용하는 echo 이다. ``` ```php <?php echo '여기는 두번째 콘솔 창입니다'; ?> //console.log
createdAt & updatedAt 바뀌기전 코드 변경 후 코드 좋아요 코드
* `@Patch(':id')` 여기는 params 값으로 id를 받을 예정이니 url :id 를 추가하기 위해서 ()안에 넣어줬다고 생각하면 된다. * `@Param('id',ParseIntPipe)id: number` 여기는 실제 params값을 받깅 위해 세
이 문제 같은 경우 어떻게 풀어야될지는 바로 감이 잡혔지만, 다 풀기까지는 시행착오들이 좀 많았었다. 우선 문제는 3,4 라는 수가 주어지고 첫번째3 은 듣도 못한 / 두번째 4는 보도 못한 이라는 집합 이름들을 뜻하고 그 집합에 있는 사람 숫자를 말한다.
문제를 보자마자 어떻게 풀어야될지 바로 생각이 들었다. 처음에는 저 종류의 동전이 하나씩만 있는건가 라고 생각했는데 자세히 읽어보니 동전의 종류일뿐 동전의 갯수는 무한대 라는 암묵적인 룰이 있는걸 확인하고 순차적으로 빼주면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맨 처음에 힙을 들었을 때 엉덩이(hip)가 생각날 수도 있지만 힙은 heap이다. 무언가를 차곡차곡 쌓아 올린 더미라는 뜻이다. 힙(Heap)은 완전이진트리의 형태로 만들어진 자료구조이다. 돌더미, 작장더미, 쓰레기 더미 등등 위로 갈수록 노드의 수가 줄어드
정수 N,M 을 사용해서 for문을 작성하였고,2번째 숫자배열을 mycard 라는 배열에4번째 숫자 배열을 targetArr 이라는 배열로 만들고두번째 for문에서는 targetArr의 i 번째의 있는 숫자가 mycard의 배열안에 있는지있다면 cntNumber 라는
# 1. 스택이란? > * 스택은 "쌓다" 라는 의미로, 데이터를 차곡차곡 쌓아 올린 형태의 자료구조 입니다. * 또한 한쪽 끝에서만 데이터를 넣고 뺄 수 있는 제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후입선출(Last-In-First-Out) 형태의 선형 자료구조이다.
처음에는 문제에 대한 이해를 못해서 푸는데 시간이 좀 걸렸다.마침 같이 있던 스터디원이 문제에 관해서 설명을 해주었는데,쉽게말하면 예제입력 1,2 번째 줄이 한묶음이고 3,4 번째 줄이 한묶음이며4번째 줄의 숫자들중 하나가 2번째 줄에 있다면 1 없으면 0을 출력 시키
우선 내 스스로 푼 곳은 여기까지이다. new Set() 함수로 우선 중복값을 미리 제거한 후 그다음 sort() 함수를 사용해서 정렬을 했다. 저기까지만 했을때 sortInput 의 콘솔 값을 찍어보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