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 배경>가상화는 1960년대에 처음 소개되었지만 2000년대에 이르러서야 주목받기 시작가상화가 주목받기 시작한 이유는 하드웨어 기술의 성장과 보급 증가로 성능이 우수한 하드웨어를 구하기 쉬워졌기 때문이로 인해 시스템의 리소스 활용률은 낮아졌고,
Ansible 플레이북 작업제어 이전 블로그에서는 작업제어의 조건문까지 다루었다. 이번에는 조건문 이후에 템플릿부터 다룰 예정이다. 템플릿 Asible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가장 강력한 방법은 템플릿을 만드는 것
Ansible 플레이북 작업제어 이전 블로그에서는 작업제어의 반복문까지 다루었다. 이번에는 반복문 이후에 조건문부터 다룰 예정이다. 조건문 Ansible은 조건문을 사용하여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작업 또는 플레이를 실행할 수 있음
Ansible 플레이북 이전 블로그에서는 플레이북의 필터까지 다루었다. 이번에는 필터 이후에 팩트(fact) 변수 부터 다룰 예정이다. 팩트(fact) 변수
Ansible 플레이북 이전 블로그에서는 플레이북의 변수까지 다루었다. 이번에는 변수 이후에 조회 플러그인 부터 다룰 예정이다. 조회(lookup) 플러그인 파일, 인벤토리, 키/값 저장소, API 등 외부 소스에서 데이터를 검색해 변수로 가져올 수 있음
Ansible 실습 플레이북 Ansible 플레이북은 반복 가능하고 재사용 가능하며 간단한 구성 관리부터 여러 호스트에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데 매우 적합 작업을 두 번 이상 실행해야하는 경우 Ad-hoc 명령을 사용하지 않고,
IaC (Infrastructure as Code-코드형 인프라) 인프라를 웹 인터페이스 및 대화형식의 도구를 사용해 수동적으로 인프라를 구성하는 것이 아닌, 시스템이 읽을 수 있는 인프라 정의 파일을 통해 인프라의 구성 관리 및 배포를 자동화 하는 것
AWS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여러 사람에 의해 공유되어 사용될 목적으로 통합하여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 정보를 구조화하여 빠르고 효율적인 검색 및 갱신이 가능하도록 구성 DBMS를 통하여 관리됨 SQL을 통한 표준화된 접근 지원 DB의 트랜잭션은 ACID를 만족한다
aws EC2 / S3 실습 ec2생성 및 터미널에서 키로 해당 ip 입력해서 접속 sodo -i root로 진행 rpm -qa | grep unzip 압축푸는 프로그램 깔려 있는지 확인
AWS 클라우드 이론 시스템 기반이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24시간/365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 요소 데이터센터의 정의 시스템 기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 구성요소를 제공하는 시설
5일이라는 기간동안 아래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세미 프로젝트를 진행 할 예정이다. 웹 서비스 구축 및 이중화 dns서비스 구축 및 이중화 로드밸런싱 스토리지, FTP, NFS, DB 등의 인프라 구축 웹 서비스 구축 및 이중화 웹 서버는 nginx를 이용하기로 하였다.
SAMBA 리눅스, 유닉스, 윈도우 등 다른 계열의 운영체제 시스템끼리 자원을 공유하기 위한 서비스 📒 리눅스와 리눅스의 자료 공유는 NFS SAMBA를 이용한 Linux끼리 파일 공유
HTTPS HTTPS = HTTP + SSL -> HTTP는 평문 통신이여서 보안에 취약하기 때문에 SSL프로토콜로 포장해서 암호화 통신 SSL : HTTP, FTP등 평문 통신 프로토콜을 암호화해주는 프로토콜
DB 데이터베이스 : 여러 사람에 의해 공유되어 사용할 목적으로 통합하여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 파일 DB는 여러가지 문제가 있어 대용량 데이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가벼운 파일에는 SQLite를 쓰긴함) DBMS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SElinux는 리눅스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탄생하였다💡 리눅스의 전통적인 보안은 퍼미션이다커널에서 동작하는 보안 모듈📕 메모리는 커널과 사용자로 나누어져있고 커널이 실제 프로세스 작업을 하는 것이고 사용자는 메모리에 올라온 프로그램 (프로세스)
open SSH 원격에서 암호화로 서버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 과거에는 telnet을 이용해서 원격으로 접속했지만 평문으로 접속하기 때문에 보안이 약해서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암호화 이론 : SSH, SSL(HTTPS)
OSI 7계층 네트워크 : 최소 2개이상의 장비가 통신하는 것 1계층 / 물리계층 역할 : 전기적, 기계적 규칙을 정의하여 네트워크가 물리적으로 송수신 가능하게 하는 계층 PDU : BIT = 전기신호 단위 장비 : 허브, 리피터, 케이블선
리눅스의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면서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 리눅스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들📒 데몬 프로세스는 sshd처럼 d로 끝나는 프로세스들 , 보통 서버쪽 서비스를 제공하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LVM 디스크의 용량이 부족할 때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 독립적으로 구성된 디스크 파티션을 하나로 연결하여 한 파티션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줌 PV (물리 볼륨) : /dev/sdb1처럼 실제 하드디스크의 파티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