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여러 사람에 의해 공유되어 사용될 목적으로 통합하여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 정보를 구조화하여 빠르고 효율적인 검색 및 갱신이 가능하도록 구성 DBMS를 통하여 관리됨 SQL을 통한 표준화된 접근 지원 DB의 트랜잭션은 ACID를 만족한다
aws EC2 / S3 실습 ec2생성 및 터미널에서 키로 해당 ip 입력해서 접속 sodo -i root로 진행 rpm -qa | grep unzip 압축푸는 프로그램 깔려 있는지 확인
AWS 클라우드 이론 시스템 기반이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24시간/365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 요소 데이터센터의 정의 시스템 기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 구성요소를 제공하는 시설
파일이 수정되어 EC2가 수정된 파일을 모두 반영하거나 , 하나의 EC2가 파일에 쓰기 작업을 했을 때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른 EC2도 해당 쓰기 작업을 반영해야한다. 변경사항을 일일이 각 EC2마다 접속해서 읽기/쓰기 작업을 한다면 비효율적일 것이다.
서버리스 > 완전관리형 서비스를 서버리스 컴퓨팅이라고 한다. 완전관리형 서비스라는 것은 인프라를 직접 관리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네트워킹 > 기존의 AWS환경의 VPC는 온프레미스와 인터넷 연결을 중심으로 상호작용했다면, 기업 데이터센터의 경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네트워킹을 통해 인터넷과도 연결성이 없으며, 프라이빗 속성을 가지고 상호작용한다.
CloudFront > CDN(Content Delivery Network)라 부르며, 전 세계에 걸쳐 저지연의 속도 로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는 캐싱 서비스이다.
우리는 AWS리소스와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성능 , 보안수준을 관리하기 위해 AWS환경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이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서비스가 Cloudwatch , CloudTrail, Config다.
특정 리소스에 값이 들어왔을 때 사용자는 값이 들어왔다는 것을 어떻게 인지하며, 다른 서비스로 옮길 수 있을까? 이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SNS다.
서비스간,네트워크간의 트래픽의 흐름, 즉 로그를 파악하기 위해 AWS CloudTrail,CloudWatch,Config 세가지의 서비스를 지원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 중 CloudWatch에 대해서 다루어 볼 예정이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루스커플링 원칙에따라 여러컴포넌트로 나눈 마이크로서비스에서 각 컴포넌트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SQS에 대해서 다루어 보았다.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개발자는 루스커플링이라는 설계 원칙을 이용해 어플리케이션의 확장성과 신뢰성을 높인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트래픽의 유출과 유입을 어떻게 통제하는지에 대해서 다루어 보았다. 하지만 누구에게 접근권한을 주고 누구에게는 권한을 주지않고를 어떻게 선택할 수 있는지 궁금할 것이다.
저번 포스팅에서 AWS의 네트워크 VPC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하지만 서브넷간의/인스턴스간의 트래픽의 유출/유입에 대해서 어떻게 원하지않는 트래픽을 거부하고 원하는 트래픽만 허용하는지 궁금할 것이다.
이전 포스팅에서 VPC에 대해서 다루어보면서 프라이빗 서브넷은 인터넷 연결이 안되기때문에 외부에서도 접근할 수 없지만, 내부에서도 외부로 나갈수가 없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인터넷 연결을 해야하는 상황이 있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VPC VPC는 EC2의 네트워크 계층이며 EC2인스턴스를 비롯한 여러 AWS서비스에 네트워크 리소스를 담을 수 있는 가상 네트워크이다.
지난 포스팅에서 관계형DB에 대해서 포스팅했었다. 이번에는 비관계형DB에 대해서 다루어보겠다. 비관계형 DB(NoSQL) >비관계형 DB는 말그대로 관계가 없는 즉 SQL처럼 순서대로 저장후 이 순서에서 관계가 있는 구조화가 아닌 비구조화 DB이다.
데이터베이스는 관계형,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두가지가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 다루어 볼 예정이다.
지난 포스팅에서 스토리지의 종류중 객체 스토리지, 블록스토리지에 대해서 다루어 보았다. 오늘은 마지막 칼럼형 스토리지 Redshift에 대해서 다루어보고 이와 비교되는 EMR, Athena에 대해서 다루어 보겠다.
지난 포스팅에서 세가지 형태의 스토리지중 블록 스토리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WS에서 가장 효율적이며 중요한 서비스중 하나인 객체스토리지(S3)에 대해서 알아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