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프라인 파이프라인은 지속적 통합 및 지속적 전달/배포를 하기 위해 버전 제어에서 최종 목표까지 소프트웨어를 가져오는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기능/플러그인 파이프라인은 DSL(Domain-Specific Language)를 통해 코드로 작성
도커를 사용하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컨테이너와,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정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컨테이너를 함께 구동하는 환경을 예로 들수 있음
Docker Docker 이미지 제작 __ 이미지를 업로드 할 때 이름이 중요하다 하지만 이미지의 이름을 변경하는 기능은 없으며,태그 기능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가리키는 이름을 하나 추가하는 형태 이미지를 업로드 하려는 목적이라면 태그를 지정할 때
docker docker 실습 __ docker exec 컨테이너명 yum -y install httpd # 패키지 설치 docker exec -d 컨테이너명 httpd -D FOREGROUND # 서비스 실행
<가상화 배경>가상화는 1960년대에 처음 소개되었지만 2000년대에 이르러서야 주목받기 시작가상화가 주목받기 시작한 이유는 하드웨어 기술의 성장과 보급 증가로 성능이 우수한 하드웨어를 구하기 쉬워졌기 때문이로 인해 시스템의 리소스 활용률은 낮아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