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최종 지난 Project 정리 작업에 이어서 앞으로 총 3일간 Project 정리 작업 및 최종 PT를 진행한다. 구현한 인프라 및 CI/CD 파이프라인 , 서비스 , Monitoring 시스템에 대한 코드 정리, 기술보고서 및 PPT 작성을 할 것이다. 코
프로젝트 정리 지난 작업까지해서 인프라 구성, CI/CD 파이프라인 구축, 서비스 테스트, 트러블 슈팅까지 완료하였다. 마지막에 추가된 머신러닝 Backend 서버같은 경우에는 도커라이징까지만 하고 해당 이미지를 ArgoCD에서 ML-deployment의 파드로 띄우기
Flask 도커라이징 EC2인스턴스에서 빌드테스트하는 것은 아래 블로그를 참조하였고, 정상적으로 빌드가 되었다. 📒 flask 빌드 테스트 참조 Dockerfile을 작성하여 빌드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것이다.
User / Admin 페이지 경로 구분 이전 작업으로 3-tier 구성 / 연결이 완료되었고, Frontend 부분에서는 Ingress의 다중경로를 사용하여 User 와 Admin페이지를 구분하였다. 또한 User, Admin, Backend의 파이프라인 구축도 완료
Frontend-User 도커라이징 이전까지 작업으로 Frontend-Admin 과 Backend , DB 연결을 마무리하였고, Frontend-Admin과 Backend의 CI/CD 파이프라인 구축작업을 마무리하였다. 이제 실제로 User가 보는 웹페이지를 배포하기
Frontend 와 Backend 연결 지난번 작업에서의 405에러를 잡기위해 많은 자료조사를 한 결과 백엔드에 연결이 안되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nginx가 405에러를 지원을 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자료를 찾았다. 따라서 nginx에러를 잡는다면 해결될 것이라
Backend 와 Frontend 연결 Backend 파이프라인 구축 작업은 마무리한 상태에서 Frontend 도커라이징 테스트를 완료하였다. Frontend 파이프라인 구축 작업에 앞서 일단 생성한 Frontend 이미지로 배포한 웹과 Backend 서버가 연결이 잘
Backend CI/CD 파이프라인 이전 작업까지해서 Backend CI/CD 파이프라인 구축 작업 테스트는 완료하였다. 하지만 개발자님이 Backend부분에 대해서 추가 개발 및 Git을 나누어 놨기 때문에 해당 Git을 다시 fork해서 나의 workDIR과 rem
일단 어제 지금까지만 개발된 백엔드 코드에 대한 도커라이징을 테스트했다. 이제부터 Jenkins를 이용해 파이프라인을 구축할 것이다. 1 . 백엔드 코드 수정 및 변경 개발자님의 백엔드코드를 나의 git으로 fork해서 가져온뒤 workDIR에 clone을 통해 rem
CI/CD 파이프라인 CI/CD 파이프라인 구축에 앞서 일단 지금까지 개발자분이 개발한 코드가 정상적으로 빌드되는지 테스트를 하기로하였다. 이전에 백엔드 코드를 도커라이징한 과정을 그대로 실행하였다. 개발자님이 기능을 추가하는 과정에서 git에 새로운 디렉터리들을 추가
Jenkins 추가 설정 Jenkins에 접속하여 Jenkins관리에 들어가보니 아래와 같은 에러 메세지가 뜨는 것을 확인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같이 Jenkins 시스템 설정에 들어가 Jenkins Location부분에서 이 브라우저에 접속할때 입력한
Jenkins 설치 오류 해결 Jenkins를 배포하고나서 하루가 지난뒤 갑자기 접속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Jenkins를 띄우는 파드의 로그를 확인해보니 볼륨 마운트에 문제가 발생했다. 내 생각으로는 원래 gp2볼륨을 스토리지로 사용했는데 gp2-csi-dri
Route53 Route53과 External DNS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클라이언트가 IP주소나 복잡한 로드밸런서의 주소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흔히 보는 도메인을 입력하여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
도커라이징 이전 블로그에서 개발자님이 만드신 테스트코드를 TEST & BUILD 후 java -jar 명령어를 통해 배포하여 브라우저에서 정상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오늘은 이전 작업에이어서 테스트 코드에 대해서 TEST & BUILD 후 배포까지 하는 Doc
도커라이징 도커라이징이란 어떠한 기술이나 툴 보다는 개발자가 만든 코드를 테스트 & 빌드 해보고 도커 이미지로 만드는 과정을 말한다.
인프라 구축 이전 인프라 구축에 이어서 오늘도 인프라 구축을 작업할 것이다. 오늘의 목표는 스토리지 구축, HPA, EC2 AutoScailing 구축이다. 클러스터 오브젝트 생성 스토리지 여러 AZ에 배포된 EC2인스턴스들이 동시적으로 하나의 스토리지에 접근해서
인프라 구축 착수보고서가 끝나고 본격적으로 인프라 구축을 시작했다. Front/back 개발을 담당하는 팀원도 이제 개발을 시작했기에 Front/back 실행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개발자가 git에 push한 실행파일을 가지고 Jenkins가 테스트와 빌드를
프로젝트 착수 보고서 원래 오늘부터 인프라 구축에 들어가려 했지만 아이디어가 명확하지 않고, 다른 기존의 서비스와의 차별점이 없다는 피드백을 통해 주제를 변경하게 되었다. 이전 블로그에서 작성한 착수 보고서에서 프로젝트 주제와 AS IS - TO BE를 제외하고는 변경
프로젝트 착수 보고서 주제 / 아이디어 , 주제 선정 배경 이전 블로그에서 작성하였던 여행관련 아이디어에서 타당성 , 차별점을 추가하고 구체화를 하여 아래와 같이 최종 아이디어를 도출해냈다. >포스트 코로나 이후 여행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3/13 ~ 4/11 까지 약 한달 간 쿠버네티스 전문가 양성과정의 마지막 과정인 파이널 프로젝트가 진행된다.팀은 총 5명으로 구성되었다.최종발표는 4/12일이며, 최종 보고서 및 기술 보고서, 시연영상을 준비해야 한다.첫날은 가볍게 자기소개 및 팀장 정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