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data.go.kr/data/15012690/openapi.do
방법마다 장단점의 차이는 있겠지만, 첫번쨰 API를 직접호출하는 경우에는 쉽고 간단하게 해결한다. 그러나 공공API서비스에 의존하기때문에 그쪽에서 오류가 나면, 우리 서비스에도 오류가 나게된다.
두번째, DB에 넣어준다. DB를 넣는거는 간단한 테이블이라해도 설계와 생성에서 공수가 든다. 일정이 넉넉하다면 괜찮겠지만 dev, stg, prd DB에 신청/승인/반영해야한다. 그러나 장점은 한번받아놓으면,
외부에서 오류가 생겼을때 내부디비에는 데이터가 있으므로 외부에서 생긴오류로 우리쪽까지는 영향을 받지않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