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 자바스크립트 기초를 공부하고 부족한 부분을 채우자.
🙌 아래 코드를 확인하면서 공부해보자🚀
function alertSuccess() {
alert("로그인 성공!");
}
우리가 함수는 정의를 했지만, {코드블럭}은 실행되지 않았다.
왜일까? 함수 내부는 함수가 호출되기 전까지 실행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호출하는 함수의 이름과 (소괄호)
를 사용한다.
alertSuccess();
인자
라는 것은 함수의 입력값으로 실제 전달되는 값이다.
f(x) = x + 2, f(3) = 5 라고 했을 때 인자는 실제 함수에 전달된 3을 말한다.
인자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함수 이름 옆에 (소괄호)를 통해 전달한다.
function alertSuccess(msg) {
alert(msg);
}
함수를 호출하면서 데이터를 전달해보자🎮
alertSuccess("데이터 전달 완료");
alertSuccess("데이터 전달이 완료되었습니다!");
데이터를 전달받는 함수의 재정의
function printAll(param) {
alert(`${param}, 로그인 성공!`)
}
다시 데이터를 전달해보자🎮
alertSuccess("확인");
👩🏻💻주의: 함수 내부에서 인자로 받은 변수에 새로운 값을 넣지말자🚨🚨🚨
//Example
function alertSuccess(name) {
let name = "김대리";
alert(name + "님 로그인 성공!");
}
// 위와 같이 함수 내부에서 인자로 받은 변수(name)에 새로운 값("wecode")을 넣으면 안된다!
// 인자(parameter)에 실제로 어떤 데이터가 전달될지는 호출할 때 결정하는 것
alertSuccess("김대리"); // 이렇게요 쓰지 말자!
isbiggerThanHundred
이라는 이름의 함수를 만들자.isbiggerThanHundred
함수에서 받은 argument를 myNumber
라는 parameter에 저장하자.isbiggerThanHundred
함수에서myNumber
가 100보다 크면 "크다!"라는 문자열을 return 하자.myNumber
가 100보다 작거나 같으면 "작다!"라는 문자열을 return 하자.function isbiggerThanHundred(myNumber) {
if (myNumber > 100) {
return "크다!"
} else if (myNumber <= 100) {
return "작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