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P in JS (자바스크립트로 접해보는 함수형 프로그래밍) - 모나드 체이닝

낙타·2019년 12월 29일
7
post-thumbnail

자바스크립트로 하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글을 써볼까 합니다. 우연한 기회로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됐고, 프론트엔드 개발을 하면서 적용했던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다뤄볼 예정입니다.

함수자는 map 이라는 메소드를 구현한 구조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공통 적으로 상자 안에 값을 넣는다는 개념을 가지고 있고, 이 값을 변경하기 위해 map 메소드를 이용합니다.

Maybe.of(1).map(add(2)); // Just(3)
Nothing(1).map(add(2)); // Nothing

Either.Right(1).map(add(2)); // Right(3)
Either.Left(1).map(add(2)); // Left(1)

IO.of(1).map(add(2)) // IO(3)
Future.of(1).map(add(2)) // Future(3)

값을 변경한 반환 값을 갖고있는 같은 타입의 함수자 입니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 예외처리나 I/O 작업을 하기 위해 함수자를 적절히 사용하면 우아한 코드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함수자를 이용하다보면 다른 타입의 함수자끼리 연결해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 때 생기는 문제점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까지 같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map, map, map...

Either를 소개했던 글에서 봤던 예제를 다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const books = [
  { id: 'book1', title: 'coding with javascript', author: 'Chris Minnick, Eva Holland' },
  { id: 'book2', title: 'speaking javaScript', author: 'Axel Rauschmayer' },
];

위와 같이 책 목록이 있습니다. 각 id와 title 그리고 author 값을 갖고있습니다. 책 id를 이용해서 책을 찾습니다. 이 책이 Axel 작가의 책인경우 title을 출력해 줍시다.

재료(함수) 만들기

우선 id로 책을 찾는 함수를 하나 만들어 줍니다. id에 해당하는 책이 없을 수 있기 때문에 Maybe를 함수자를 이용합니다.

import { curry, find, pipe, propEq } from 'ramda';

const getBookById = curry((books, id) => {
  return pipe(
    find(propEq('id', id)),
    Maybe.of
  )(books)
});

getBookById(books, 'book'); // Nothing
getBookById(books, 'book1'); // Just({id: 'book1', ...})

id에 해당하는 책이 없을 경우 Nothing을 반환하고, 책이 있을 경우 Just를 반환하게 됩니다.

그럼 다음으로 Axel 작가의 책인지 확인하는 함수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const validateAuthor = (book) => {
  return book.author.indexOf('Axel') > -1 ? Maybe.of(book) : Maybe.of(null);
}

책의 작가 이름에서 Axel이 포함된 경우 Just를 그렇지 않은 경우 Nothing을 반환하도록 Maybe에 null을 넘겨줍니다.

마지막으로 로그를 찍어줄 함수를 만들어 줍니다. object에서 특정 필드 값을 로그에 찍어주도록 해 줍니다.

const logProp = curry((prop, value) => {
  console.log(value[prop]);
});

재료(함수) 조합하기

이제 지금까지 만들었던 함수를 조합해서 우리가 원하는 결과를 만들어보도록 합시다. pipe의 첫 번째 함수로 getBookById(books)를 넣어 줍니다. getBookById 함수가 커링된 함수기 때문에 책 id를 받는 새로운 함수가 됩니다. 이 함수에 아이디를 넘겨주면 Maybe를 반환하게 됩니다.

const printAxelBookTitle = pipe(
  getBookById(books)
);

printAxelBookTitle('book2'); // Just({id: 'book2', ...})

이제 이렇게 찾은 책이 Axel 작가의 책인지 검사하도록 합니다. Just인 경우가 책을 찾은 경우기 때문에 map을 이용해서 책에 접근해야 합니다. map(validateAuthor)를 두 번째 인자로 넘겨서 책이 Axel 작가의 책인지 검사해 줍니다.

const printAxelBookTitle = pipe(
  getBookById(books),
  map(validateAuthor)
);

printAxelBookTitle('book2'); // Just(Just({id: 'book2', ...}))

validateAuthor 함수의 반환 값이 Maybe이기 때문에 printAxelBookTitle의 반환 값은 Just(Just({id: 'book2', ...}))가 됩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책의 title을 출력하기 위해 logProp 함수를 이용하도록 합시다.

const printAxelBookTitle = pipe(
  getBookById(books),
  map(validateAuthor),
  map(map(logProp('title')))
);

printAxelBookTitle('book2'); // speaking javaScript

이전 반환 값이 Just 내부에 Just 가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책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map을 두 번 써줘야 합니다. 첫 번째 map을 이용해서 Just 한 겹 안으로 들어가서 Just({id: 'book2', ...})에 접근합니다. 다음으로 두 번째 map을 이용해서 책에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깊어지는 함수자

우리가 원하는 목적은 달성 했지만 뭔가 map(map(...))은 깔끔해 보이지 않습니다. 이렇게 함수자를 이용해서 함수 합성을 이용하다 보면 함수자가 들고 있는 값이 함수자인 경우가 생깁니다.

const mOne = Maybe.of(1);
const mmTwo = Maybe.of(Maybe.of(2)); 
const mmmThree = Maybe.of(Maybe.of(Maybe.of(3))); 
const mmmmFour = Maybe.of(Maybe.of(Maybe.of(Maybe.of(4)))); 

map(console.log, mOne); // 1
map(map(console.log), mmTwo) // 2
map(map(map(console.log)), mmmThree) // 3
map(map(map(map(console.log))), mmmmFour) // 4

지금은 함수자가 두 겹으로 감싸져 있지만 여러 단계로 감싸져 있다면 map의 단계도 점점 깊어지게 되겠죠. 어떻게 해야 깔끔한 코드를 만들 수 있을까요?

한 겹 먼저 벗겨내기

우리가 만든 printAxelBookTitle 함수는 pipe의 마지막 함수로 map(map(logProp('title')))을 넘겨줬습니다. Just 안의 Just 안의 책에 접근하기 위해서였죠. 이 과정을 조금 양보해서 첫 번째 Just의 값을 먼저 꺼내고 다음으로 Just 내부에 있는 책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사용해 보도록 하죠.

생으로 벗겨내기

가장 간단하게 벗겨내기 위한 방법은 함수자가 들고있는 값을 반환해주면 됩니다.

const printAxelBookTitle = pipe(
  getBookById(books),
  map(validateAuthor),
  maybe => maybe.$value,
  map(logProp('title'))
);

printAxelBookTitle('book2'); // speaking javaScript

세 번째 pipie의 함수는 Just(Just({id: 'book2', ...}))를 받아서 Just를 한꺼풀 벗겨낸 Just({id: 'book2', ...}) 를 반환합니다. 그러면 map을 한번만 써서 책에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getOrElse

이전에 Maybe를 소개할 때에도 maybe.$value와 같은 형태를 썼었는데요. Nothing을때 기본값을 반환하기 위해 사용했던 함수가 있습니다. getOrElse 함수입니다.

const getOrElse = curry((defaultValue, fn, maybe) => {
  return maybe.isNothing ? defaultValue : fn(maybe.$value);
});

getOrElse(0, add(1), Maybe.of(1)); // 2
getOrElse(0, add(1), Maybe.of(null)); // 0

이 전에는 세 개의 인자를 받도록 했었는데 두 번째 인자가 변환함수였죠. 이 두 번째 함수를 제거하고 값을 바로 반환해주도록 바꾸겠습니다.

const getOrElse = curry((defaultValue, maybe) => {
  return maybe.isNothing ? defaultValue : maybe.$value;
});

getOrElse(0, Maybe.of(1)); // 1
getOrElse(0, Maybe.of(null)); // 0

이제 함수를 Maybe의 메소드로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class Maybe {
  constructor(value) {
    this.$value = value;
  }

  static of(value) {
    return new Maybe(value);
  }

  get isNothing() {
    return this.$value === null || this.$value === undefined;
  }

  map(fn) {
    return this.isNothing ? this : Maybe.of(fn(this.$value));
  }

  getOrElse(defaultValue) {
    return this.isNothing ? defaultValue : this.$value;
  }

  toString() {
    return this.isNothing ? 'Nothing' : `Just(${this.$value})`
  }
}

getOrElse를 Maybe 메소드로 구현했으니 이 메소드를 이용하도록 getOrElse 함수를 바꿔보도록 합시다.

const getOrElse = curry((defaultValue, maybe) => {
  return maybe.getOrElse(defaultValue);
});

getOrElse(0, Maybe.of(1)); // 1
getOrElse(0, Maybe.of(null)); // 0

자 그럼 이 getOrElse 함수를 이용해서 printAxelBookTitle를 수정합니다.

const printAxelBookTitle = pipe(
  getBookById(books),
  map(validateAuthor),
  getOrElse(Maybe.of(null)),
  map(logProp('title'))
);

printAxelBookTitle('book2'); // speaking javaScript

모나드

자 이렇게 함수자 map을 이용한 결과가 새로운 함수자를 반환하는 경우 getOrElse 함수를 이용해서 바깥쪽 함수자를 하나 벗겨낼 수 있게 됐습니다.

const addOneToMaybe = (value) => {
  return Maybe.of(value + 1);
}

pipe(
  map(addOneToMaybe),
  getOrElse(Maybe.of(0))
)(Maybe.of(1)); // Just(2)

같은 타입으로 연결

이 map + getOrElse의 조합을 함수로 뽑아내서 한번에 수행하도록 바꾸겠습니다.

const chain = curry((fn, maybe) => {
  return maybe.map(fn).getOrElse(null);
});

chain(addOneToMaybe, Maybe.of(1)); // Just(2)

이제 map + getOrElse를 chain 함수 하나로 바꿀 수 있게 됐습니다.

printAxelBookTitle에 적용해보도록 할까요?

const printAxelBookTitle = pipe(
  getBookById(books),
  chain(validateAuthor),
  map(logProp('title'))
);

printAxelBookTitle('book2'); // speaking javaScript

이제 getOrElse를 Maybe 메소드로 넣은것 처럼 Maybe에도 chain 메소드를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chain 메소드를 추가하기 전에 chain 함수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면 아래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const chain = curry((fn, maybe) => {
  // return maybe.map(fn).getOrElse(null);
  return fn(maybe.$value);
});

chain(addOneToMaybe, Maybe.of(1)); // Just(2)

fn의 결과는 새로운 함수자이기 때문에 map을 이용해 fn을 적용하면 함수자(함수자(값)) 형태가 됩니다. 여기서 필요없는 바깥 함수자를 벗겨내기 위해 getOrElse를 사용했습니다. 이렇게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굳이 map으로 함수자를 감싸지 않으면 getOrElse를 쓰지 않아도 되지 않아도 될것 같습니다.

그래서 maybe.$value를 fn에 바로 적용하면 fn함수 자체가 함수자를 반환하기 때문에 복잡하게 함수자를 감쌌다가 다시 풀어주는 행동을 할 필요가 없어지게 됩니다.

chain 메소드를 위 방법대로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class Maybe {
  constructor(value) {
    this.$value = value;
  }

  static of(value) {
    return new Maybe(value);
  }

  get isNothing() {
    return this.$value === null || this.$value === undefined;
  }

  map(fn) {
    return this.isNothing ? this : Maybe.of(fn(this.$value));
  }

  getOrElse(defaultValue) {
    return this.isNothing ? defaultValue : this.$value;
  }
  
  chain(fn) {
    return this.isNothing ? this : fn(this.$value);
  }

  toString() {
    return this.isNothing ? 'Nothing' : `Just(${this.$value})`
  }
}

그리고 chain 함수를 Maybe의 chain 메소드를 이용하도록 바꾸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printAxelBookTitle는 변경없이 그대로 잘 동작하게 됩니다.

const chain = curry((fn, maybe) => {
  return maybe.chain(fn);
});

const printAxelBookTitle = pipe(
  getBookById(books),
  chain(validateAuthor),
  map(logProp('title'))
);

printAxelBookTitle('book2'); // speaking javaScript

Maybe를 처음 소개했던 글 이후로 우리는 Maybe를 함수자 라고 불렀습니다. 왜냐하면, Maybe는 map이라는 메소드를 구현했기 때문이죠. 오늘 이 map 메소드 이후로 추가한 메소드가 두개가 있습니다. 하나는 getOrElse이고 또 하나는 chain 입니다.

chain 메소드를 구현하는 순간 우리는 Maybe를 다른 이름으로 부를 수있게 됩니다. 바로, 모나드(Monad)입니다.

모나드(Monad)
1. chain 메소드를 구현한 객체다.
2. chain 메소드는 모나드가 가진 값에 함수를 적용해서 새로운 모나드를 반환해야 한다.

모나드의 정의가 약간 복잡해 보일 수 있는데, 조금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함수자의 정의와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함수자의 조건인 map 메소드는 자기 자신과 같은 타입을 반환하기 위해 다시 한 번 같은 타입의 함수자로 감싸서 반환했습니다. 즉, Maybe는 fn(this.$value)Maybe.of로 다시 한 번 감싸서 Maybe 타입을 반환하도록 구현했습니다.

map(fn) {
  return this.isNothing ? this : Maybe.of(fn(this.$value));
}

반면 chain은 fn 함수가 같은 타입의 모나드를 반환하지 않아도 상관이 없습니다. chain 메소드는 이중 함수자의 바깥의 한 겹을 벗겨낸다고 생각하면 될것 같습니다. 쉽게 생각하면 A라는 타입의 모나드를 이용해서 B라는 전혀 새로운 타입의 모나드로 변경하고 싶을때 사용하면 됩니다. 예를 들면, Maybe 타입을 Either 타입으로 변경한다고 생각하면 될것 같습니다.

chain(fn) {
  return this.isNothing ? this : fn(this.$value);
}

chain의 구현을 보면 chain의 파라미터로 받은 fn 함수를 $value에 바로 적용해 줍니다. fn 함수는 새로운 모나드 타입을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즉, 결과적으로 A 타입의 함수자가 fn에서 반환하는 B 타입의 함수자로 변경이 되게 됩니다.

다른 타입으로 연결

우리가 계속해서 살펴봤던 예제를 살짝 바꿔볼까요?

getBookByIdvalidateAuthor 함수는 모두 Maybe를 반환했습니다. 여기서 validateAuthor 함수를 Maybe가 아닌 Either를 반환하도록 하겠습니다.

const validateAuthor = (book) => {
  return book.author.indexOf('Axel') > -1 ? Either.right(book) : Either.left(null);
}

이렇게 하면 getBookById는 Myabe를 validateAuthor은 Either를 반환합니다. 이제 chain을 이용해서 구현을 바꿔볼까요?

const printAxelBookTitle = pipe(
  getBookById(books),
  chain(validateAuthor),
  map(logProp('title'))
);

printAxelBookTitle('book2'); // speaking javaScript

단순히 validateAuthor의 반환 타입만 바뀌었을 뿐 printAxelBookTitle의 변경되는 사항은 없습니다. 하지만 세부적은 타입은 달라지게 돼죠.

validateAuthro이 Maybe 타입을 반환할때는 chain(validateAuthor)의 결과는 Just 타입이 됩니다.

const printAxelBookTitle = pipe(
  getBookById(books),
  chain(validateAuthor), // Just({id: 'book2', ...}
  map(logProp('title'))
);

printAxelBookTitle('book2'); // speaking javaScript

하지만 Either를 반환하게 바꾸고 난 후의 chain(validateAuthor)의 결과는 Right가 됩니다.

const printAxelBookTitle = pipe(
  getBookById(books),
  chain(validateAuthor), // Right({id: 'book2', ...}
  map(logProp('title'))
);

printAxelBookTitle('book2'); // speaking javaScript

여기서 우리가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은 '어떤 함수의 반환값이 어떠한 값일 지라도 함수자인 경우 map을 이용해서 연결할 수 있다.' 라는 점입니다.

Maybe이건 Either이건 모두 map을 구현한 함수자이기 때문에 반환 타입에 상관없이 자연스럽게 map으로 연결이 가능해진 겁니다.

모나드 Either

잠시 모나드의 두 번째 정의를 다시 한 번 살펴볼까요?

chain 메소드는 모나드가 가진 값에 함수를 적용해서 새로운 모나드를 반환해야 한다.

그렇습니다. chain은 새로운 모나드를 반환해야 합니다. Maybe에는 chain 메소드를 구현했기 때문에 모나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두 번째 정의에서 새로운 모나드를 반환해야 한다는 부분에서는 Either가 아직 모나드라고 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chain 메소드를 구현하지 않았기 때문이죠. Either도 모나드로 만드기 위해 chain 메소드를 구현하도록 하겠습니다.

Either는 두 가지 상태로 나뉘었습니다. 정상적인 상태는 Right, 에러 상황일때는 Left였죠.

각 상태에 대해서 구현이 다르기 때문에 하나씩 나눠서 살펴보겠습니다.

Right

정상적인 값을 가진 Right 상태부터 살펴보겠습니다. chain 메소드는 Maybe가 Nothing이 아닐때와 마찬가지로 현재 값에 함수를 적용한 결과를 반환하도록 합니다.

chain(fn) {
  return fn(this.$value);
}

Left

그리고 에러 상황인 Left입니다. Left는 Nothing인 상태와 마찬가지로 값에 대해서 처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자기 자신을 그대로 돌려주면 될것 같습니다.

chain(fn) {
  return this;
}

아래는 함수자이자 모나드인 Either의 구현입니다.

class Either {
  constructor(value){
    this.$value = value;
  }

  static right(value) {
    return new Right(value)
  }

  static left(value) {
    return new Left(value);
  }
}

class Right extends Either {
  get isRight() {
    return true;
  }

  get isLeft() {
    return false
  }

  map(fn) {
    return new Right(fn(this.$value));
  }
  
  getOrElse() {
    return this.$value;
  }
  
  chain(fn) {
    return fn(this.$value);
  }
}

class Left extends Either {
  get isRight() {
    return false;
  }

  get isLeft() {
    return true;
  }

  map(fn) {
    return this;
  }

  getOrElse(defaultValue) {
    return defaultValue;
  }

  chain(fn) {
    return this;
  }
}

이제 validateAuthor의 결과도 Either 모나드이기 때문에 얼마든지 다시 chain을 이용해서 새로운 모나드를 연결해 줄 수 있습니다.

const validateTitleLength = (title) => {
  return title.length > 20 ? Maybe.of(null) : Maybe.of(title);
}

const printAxelBookTitle = pipe(
  getBookById(books),
  chain(validateAuthor), // Right({id: 'book2', ...}
  map(prop('title')),
  chain(validateTitleLength), // Just({id: 'book2', ...})
  map(toUpper),
  map(console.log)
);

printAxelBookTitle('book2'); // SPEAKING JAVASCRIPT

함수자(Functor)와 모나드(Monad)

함수자와 모나드는 각자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메소드를 구현했을 때 붙일 수 있는 별명이라고 생각하면 될것 같습니다.

상자에 map 메소드가 존재하는데 이 메소드의 결과가 같은 상자 타입이라면 이 상자는 함수자라는 별명을 갖게 됩니다.

그리고 상자에 chain 메소드가 존재하는데 새로운 타입의 모나드를 반환한다면 함수자와 마찬가지로 이 상자는 모나드라는 별명을 갖게 됩니다.

아래 표는 ramda-fantsy 라는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타입입니다.

이 표에서 볼수 있듯 우리가 살펴봤던 Either, Future, IO, Maybe 외에도 더 많은 타입이 존재 합니다. 이 타입들이 Functor, Monad에 체크표시가 된경우는 map과 chain 메소드를 구현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함수자와 모나드라는 별명이 공존할 수 있다는 뜻이겠죠. 즉, 어떤 타입의 객체든 함수자와 모나드의 조건만 갖추면 함수자와 모나드로 불릴수 있다는 뜻입니다.

이 라이브러리는 이 표를 보여드리기 위한 소개 정도만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지금은 유지보수를 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정리

오늘은 모나드 체이닝에 대해서 살퍄봤습니다. 모나드라는 개념이 나오기 전 함수자에 map을 이용해 새로운 함수를 적용한 결과가 함수자인 경우 함수자(함수자(값))의 형태가 됩니다.

map을 함수자가 겹쳐진 갯수만큼 써서 map(map(함수))형태로 값에 변경을 가할 수 있었지만 보기 좋은 형태는 아니었죠. 이를 깔끔하게 해결하기 위해 모나드를 만들어 처리했습니다.

모나드(Monad)
1. chain 메소드를 구현한 객체다.
2. chain 메소드는 모나드가 가진 값에 함수를 적용해서 새로운 모나드를 반환해야 한다.

모나드 타입을 만족시켜주는 chain 메소드를 이용해 기존 함수자(값)새로운 함수자(새로운 값)의 형태로 자연스럽게 연결하도록 처리했습니다. 여기서 기존 함수자새로운 함수자는 모두 chain 메소드를 구현하기 때문에 모나드라는 표현이 더 정확한 표현입니다.

이 모나드를 이용하면 map(map(...)) 과 같은 map 중첩 없이 항상 값을 감싸는 하나의 상자 형태로 함수 합성이 가능해지는것을 확인했습니다.

새로운 개념인 모나드가 나오면서 약간은 헷갈리셨을지 모르겠습니다. 함수자와 마찬가지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chain 메소드를 구현했을때 부를 수 있는 새로운 별명정도라고 생각하면 쉬울 수 있습니다.

다음은?

함수자와 모나드에 이어 Applicative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profile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관심이 많은, 프런트엔드 개발자입니다.

4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1년 5월 18일

그 동안 헷갈리고 모호했던 개념들이 이 글을 읽음으로써 확실히 잡혔습니다. 추천 100개 짜리 버튼 없나요? 이런 좋은 글을 써 주셔서 정말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1개의 답글
comment-user-thumbnail
2021년 5월 30일

흠 잘 이해가 안되네요..이제 map함수를 저렇게 쓰는지도 Maybe란게 있는지도 몰랐네요 더 열심히 해야겠습니다..

답글 달기
comment-user-thumbnail
2021년 7월 15일

친숙한 언어인 js로 모나드를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어떤 글에선 map은 이데아로 연결하는 함수, flatmap은 이데아를 거닐게 하는 함수라 하고
어떤 글에선 '모나드란 연산을 추상화한 것이다' 라고 하는데
예제를 통해 직접 구현해보며 적용해보니 그 의미를 이제 조금 알 거 같습니다.
함수는 내부가 어떻게 구현돼있든 결국엔 인풋이 들어오면 아웃풋을 만들어내는 연산들로 이뤄져있고 인풋을 모나드로 감싸면 (map, of 사용) 이데아로 연결이 되고
flatmap(chain)을 통해 이데아를 거닐 수 있게 되며, 이데아를 거닌다는 뜻은 모나드로 추상화된 연산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마지막엔 추상화된 연산 박스(모나드)에서 값을 추출하는 과정으로 마무리를 하죠.
물론 여기까지 이해하긴 쉽지 않았습니다.
'음... 이 함수는 커링된 함수니까 이 함수한테 모나드가 인자로 들어오고 내부 map 메서드를 통해 right를 반환하는데 처음 커링된 함수가 쓰이고...' 꾸역꾸역 흐름을 따라가보며 계속 보다보니
어느 순간 많이 합성된 함수들도 어떤 기능을 할지 명시적으로 눈에 보이고 코드가 술술 익혀지는 순간이 오더라고요. 덕분에 뇌에서 새로운 사고가 트인 느낌입니다.
중간에 future 모나드와 fork는 구현부가 없어서 조금 아리송했지만 전체적인 흐름을 알게 되어 좋았습니다. 다시 한 번 모나드를 주제로 js를 통해 고퀄의 글을 써주신 점 감사드립니다.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