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fork로 협업하기

나경·2024년 11월 23일
0

fork로 프로젝트 협업을 진행하는 법입니다
fork img fork 하고싶은 레포지토리로 가서 fork를 생성합니다
이동된 페이지에서 레포지토리 이름을 설정하고 Create fork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이슈를 생성하고 브랜치를 생성해서 작업할 것입니다
upstream은 내가 포크한 원래 레포지토리이고, origin은 내가 포크해서 나의 깃허브로 가져온 레포지토리입니다
이슈는 upstream에서 생성합니다 이미 다른 팀원 분이 이슈 템플릿을 만들어 놓으셔서 그 틀에 맞게 작성하면 됩니다 Issues를 클릭해서 Get started를 클릭하면 이슈 템플릿이 나타납니다
템플릿에 맞게 글을 작성하면 되는데 컨벤션에 맞추어 title을 작성하고 내용을 작성하면 됩니다
좌측에서는 작업할 내용을 작성하고 우측에서는 라벨을 선택합니다 지금 작업할 내용에 맞는 라벨을 선택한 후 Submit new issue 버튼을 클릭하면 이슈 생성이 완료되었습니다!

생성된 이슈는 수정이 가능합니다 오른쪽 상단의 점 3개를 클릭하면 edit 버튼이 있어서 언제든 내용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수정된 내역은 빨간 박스로 표시해둔 edited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해서 작업을 시작해야 합니다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오른쪽에 파란색으로 적혀있는 Create a branch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Branch name에는 태그/#이슈번호를 적으면 되는데 이슈 번호는 제목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pository destination는 origin레포로 설정하면 origin에 해당하는 브랜치가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reate branch 버튼을 클릭하면 친절하게 명령어를 알려줍니다 로컬에서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됩니다

origin에서도 브랜치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로컬에서 작업이 끝나면 평소처럼 add, commit, push를 하면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push입니다 꼭 git push origin 작업중인 브랜치(태그/#이슈번호)로 명령어를 입력해야 합니다

이제 pull request를 생성하면 됩니다 여기선 어디서 어디로 머지할 것인지 브랜치 선택만 잘 해주면 됩니다 내 origin에서 upstream으로 머지하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어떤 작업을 수행했는지 마찬가지로 컨벤션에 맞게 작성하고 뱃지도 달아준 후 Create pull request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이제 작업이 끝난 issue는 close issue 버튼을 클릭해서 이슈를 닫아주면 됩니다 이슈마다 브랜치를 생성하기 때문에 이슈를 닫으면 해당하는 브랜치는 사용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브랜치는 삭제하면 됩니다

git branch -d [브랜치명]

여기까지만 따라하면 가장 최근에 사용한 브랜치에만 변경 사항이 저장됩니다 origin의 develop 브랜치에도 변경사항을 동기화하고 싶다면 upstream의 develop 코드를 pull받아서 origin의 develop에 push하면 됩니다

git checkout develop
git pull upstream develop
git push origin develop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