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 Docs로 API 명세서 작성하기
@Transactional 롤백과 deleteAll(), deleteAllInBatch()의 차이, 그리고 클렌징과 autoincrement id 테스트
공통응답, ResponseEntity 그리고 @RestControllerAdvice 까지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가 뭘 말하는걸까? 그리고 Cascade에 대해서 알아보자 그리고 테스트의 함정에 빠지지않도록 하자..
어느게 총 갯수를 세는데 효율적일까? 궁금해서 도전해보았다.
int vs Integer, 원시 타입 vs 참조 타입 어떨 때 사용해야할까 ?
REST Docs만 사용하면 아쉬울 때 Swagger도 같이 쓰게 해주는 Open Api Specification을 이용한 문서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