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8-24cmd -> sqlplus 입력로그인 hr hr(sqlplus는 ;로 끝나지 않는다. 그런 언어는 sqlplus언어)기본 셀렉트문select \* from departments;\-대소문자 구분하지 않는다. (소문자로 작성해도 SQL은 대문자로 자동으로
다른 비교 조건between ...and... : 두 값 사이(지정한 값 포함)IN(set) : 값 목록 중의 값과 일치LIKE : 문자 패턴 일치is null : 널 값\*is not null자바에서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면,SQL에서는자연어에 가깝게 표현한다.% :
oracle SQL 3장 단일 항 함수
자바에서문자열을 정수로 바꾸기오토박싱오토 언박싱형태 지정 날짜와 시간 출력'2022년 8월 29일' -> 테이블에 삽입문자열 날짜형 to_date('2022년 8월 29일',XXXX) XXXX : 형태요소형식 모델(format_mode)작은 따옴표로 묶
📝 Oracle SQL 3장
조인(join)\-실제로 분리된 테이블을 논리적으로 하나로 합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다.오라클에는 4개의 조인이 있다. 등가조인, 비등가조인, 포괄조인, 자체조인※(tip)1,2,3장은 본문에 나온 예제만 한번봐도 좋으나, 4장은 무조건 잘 봐둬야한다. 시험을 본다면
upper라는 함수가 있다고 하자. 데이터 하나가 들어가서 하나가 나왔다. 이것은 3장에서 배운 함수이다.5장에서 배울 함수는, 함수 안으로 여러가지가 들어가, 바깥으로는 하나가 나오는 것이다. 예를 들면 max라는 함수는 여러가지가 함수안으로 들어가 가장 큰 한 건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