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공네트]2주차_Chap02 정리

임지·2025년 7월 14일
0

혼공네트

목록 보기
2/7

1. 이더넷

1-1. 이더넷이란?

  • 유선 LAN 환경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기술
  • 대부분의 네트워크 장비는 IEEE 802.3 이더넷 표준을 준수
  • 이더넷 표준에 따라 지원되는 네트워크 장비, 통신 매체 종류 등이 달라질 수 있다.

1-2. 통신 매체 표기

  • 전송 속도
    : 숫자만 쓰여있다면 Mbps
    : 숫자 뒤에 G가 쓰여있다면 Gbps

  • BASE
    : '베이스밴드'라는 변조 타입을 의미
    : 비트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중 하나가 베이스밴드

  • 추가 특성
    : 전송 가능 최대 거리, 물리 계층 인코딩(데이터 -> 비트 신호), 레인 수 등
    : 추가 특성 중 가장 중요한 건 통신 매체의 종류

  • 통신 매체의 종류
    : 케이블 종류에 따라 나뉜다.

표기 내용케이블 종류
C동축 케이블
T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
S단파장 광섬유 케이블
L장파장 광섬유 케이블
  • 10BASE-T 케이블
    : 10Mbps,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을 사용

1-3. ⭐ 이더넷 프레임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주고받는 프레임의 형식도 정해져있다.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캡슐화 과정에서 헤더와 트레일러를 추가하는데, 그 내용은 아래 사진과 같다. (초록색 : 헤더, 빨간색 : 트레일러)

    사진 출처 : https://notes.networklessons.com/ethernet-frame-types

1) 프리앰블 (8바이트)

  • 수신지 호스트와 송신지 호스트의 동기화를 위함
  • 첫 7바이트 : 10101010
  • 마지막 바이트 : 10101011

⭐ 2) 수신지 MAC 주소 / 송신지 MAC 주소 (6바이트)

  • LAN 내에서 송/수신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함
  •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고유한 물리 주소인 MAC 주소를 가진다.
  • NIC라는 장치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역할 (그래서 NIC가 여러 개면 MAC 주소도 여러 개일 수 있음)
  • 16진수 숫자 12개로 구성 (48비트)

3) 타입/길이 (2바이트)

  • 타입
    : 1536(16진수 0600)이상인 경우
    : 어떤 정보를 캡슐화 했는가를 알려준다
    : 상위 프로토콜의 종류를 16진수의 형태로 명시

  • 길이
    : 1500(16진수 05DC)이하인 경우
    : 프레임의 길이를 나타낸다

4) 데이터(46바이트 - 1500바이트)

  •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내용
  • 최소 46바이트, 최대 1500바이트
  • 데이터의 크기가 46바이트보다 작다면, 0으로 이루어진 패딩을 채운다

5) FCS (4바이트)

: CRC 방법을 통해 구한 오류 검출값이 들어간다.
: 송신하는 경우 CRC 값을 트레일러에 명시하고, 수신하는 경우 CRC값과 프리앰블 값을 제외한 내용을 통해 새로운 CRC값을 계산한다.
: 두 값을 비교해서 오류 검출 여부를 알아낸다.

1-4. 토큰 링 방법


사진 출처 : https://www.pctechguide.com/networking/token-ring-networks

  • 토큰을 가지고 있는 호스트만이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
  • 메세지를 보내면서 다른 호스트에게 토큰을 전달한다.

2. NIC와 케이블

⭐ 2-1. NIC

  • 호스트와 통신매체를 연결 (호스트와 통신매체 사이의 중간다리 역할)
  • MAC 주소가 부여되는 네트워크 장비
  • 호스트를 LAN에 연결하기 위한 하드웨어
  • 프레임의 수신지 주소를 확인해 폐기하거나 할 수 있다

2-2.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

  • 구리 선으로 전기 신호를 주고받는다.
  • 커넥터 이름 : RJ-45
  • 전기 신호를 왜곡시킬 수 있는 간섭인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1) 차폐 종류에 따른 구분

  • 노이즈 발생을 줄이기 위해 구리 선의 주변을 감싸는 차폐 방법 사용
차폐 재료차폐 이름케이블 이름
그물 모양 철사브레이드 실드STP
포일포일 실드FTP
아무것도 씌우지 XUTP
  • XX/YTP의 형식으로 외부/구리선을 감싸는 실드의 종류를 명시한다.
    : U/UTP : 외부/구리선에도 실드 X
    : S/FTP : 외부에는 브레이드 실드를, 구리선에는 포일 실드를 감쌈


사진 출처 : https://www.qsfptek.com/qt-news/fiber-optic-cable-vs-twisted-pair-cable-vs-coaxial-cable-guidance.html?srsltid=AfmBOoo92t3iI3QWP31UfGlyWN7Mu9KKDGwXNTCm68e1NZPF9U_Ns2UM

2) 카테고리에 따른 구분

  •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은 카테고리에 따라 구분된다.
  • 카테고리 값이 높을 수록 성능도 좋아진다. (전송속도, 대역폭 등)
  • Cat이라는 표현으로 명시 (뒤에 숫자가 클수록 성능도 좋다)


사진 출처 : https://cabling.crxconec.com/ko/crx-blog/CRX-Blog-10.html

  • 표를 외울 필요는 없고, 숫자값에 따른 성능 변화 정도만 확인할 것.

2-3. 광섬유 케이블

  • 빛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 전기 신호를 쓰는 케이블에 비해 속도도 빠르고, 먼 거리까지 전송 가능
  • 노이즈에 의한 간섭도 적다.

1) 광섬유 케이블의 구조

  • 코어 : 실질적으로 빛이 흐르는 부분
  • 클래딩 : 빛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굴절률 차이를 만들어 코어 내부에 가두는 역할

2) 싱글 모드 광섬유 케이블 vs 멀티 모드 광섬유 케이블

싱글 모드멀티 모드
코어의 지름작다크다
전송 거리장거리(수십km)근거리 (수백m~수십km)
빛의 파장장파장단파장
빛의 경로한 방향여러 방향
정보 손실 가능성비교적 낮다비교적 높다
비용높다낮다

3. 허브

3-1. 허브

  • 물리 계층의 장치
  • 반이중 통신 (한 번에 하나의 신호만 오갈 수 있음)
  • 전달 받은 신호를 모든 포트로 내보낸다

3-2. CSMA/CD 프로토콜

1) 충돌과 콜리전 도메인

  • 충돌
    : 두 개 이상의 호스트가 허브로 동시에 신호를 보내면, 충돌이 생긴다.

  • 콜리전 도메인
    : 충돌 가능성이 있는 호스트들의 집합.
    : 하나의 허브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는 동일 콜리전 도메인에 속한다.
    : 도메인의 범위가 커질 수록, 충돌 발생 가능성도 높아진다.

2) CSMA/CD 프로토콜

  • CS ( Carrier Sense )
    : 통신 매체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

  • MA ( Mutliple Access )
    : 우연찮게 허브에 동시에 여러 개의 호스트가 접근하려고 하는 상황

  • CD ( Collision Detection )
    : 충돌이 발생하면 이를 검출한다.
    : 충돌을 검출한 호스트는 다른 호스트에게 잼 신호를 전송한다.
    : 임의의 시간이 지나면, 다시 전송을 시도한다.

⭐ 4. 스위치

4-1. 스위치

1) 스위치란

  • L2 스위치라고도 한다. ( 2계층에서 사용하는 스위치 )

  • MAC 주소를 학습해, 특정 MAC 주소를 가진 호스트에만 프레임을 전달하고, 전이중 모드를 지원

  • MAC 주소 테이블
    : MAC 주소와 포트 간의 연관관계를 저장

2) 스위치의 작동 방식

  1. MAC 주소 테이블이 비어있으면, 플러딩
  2. 송신지 MAC 주소를 기준으로 테이블을 채움
  3. 학습이 되었다면 (테이블에 값이 있다면) 필터링포워딩
  4. 오랜 시간 접근하지 않은 테이블 필드는 삭제 (에이징)

4-2. VLAN

  • 하나의 물리적인 스위치 장치를 통해, 논리적인 여러 개의 LAN을 구성할 수 있다. (=VLAN)

  • 서로 다른 VLAN에 있다면, 같은 스위치에 연결 되어있어도 다른 LAN에 존재한다고 인식 (따라서 네트워크 계층 이상의 장비로 통신해야함)

  • 포트 기반 VLAN
    : 포트를 통해 VLAN을 나눈다.
    : VLAN 트렁킹을 통해 스위치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 어떠한 VLAN에 속하는지를 확인 하기 위해, 헤더에 VLAN 태그가 필요

  • MAC 기반 VLAN
    : MAC 주소에 따라 VLAN을 결정
    : 어떤 포트에 연결되든 상관 X


연습 문제 풀이

기본 문제 풀이

  • 87p 확인 문제 2번
    - 프리앰블
    - 송신지 MAC 주소
    - FCS

  • 111p 확인 문제 4번
    CS - 캐리어 감지 : CS는 Carrier Sense의 약자
    MA - 다중 접근 : MA는 Multiple Access의 약자
    CD - 충돌 검출 : CD는 Collision Detection의 약자

추가 문제 풀이

오늘 추가 문제는 패스하겠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