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인 React 관련 개발 환경 환경을 설치한 것이다.(webpack포함)다음과 같이 package.js를 수정해준다. dev는 개발서버이다. 웹팩에서는 포트를 입력해줬는데, 얘는 3000번이 기본이다. 그래서 "dev":"next dev -p 3001"로 하면 3
동적 Routing (앞으로 더 배워야함) {post}라 쓰여진 부분이 주소창 뒤에 쓰여진 내용들로 대체된 것을 알 수 있다. 레이아웃 만들기 이런식으로 적용하면 그 내용이 layout의 children안에 들어가게 된다. 그 외 다른 페이지도 된다! Node
목표화면 그리기front>pages>\_documentfront>.babelrcdisplay:${props=>(props.flag ? 'block' : 'none')};바벨로 가능케함...그래서 우리가 component안의 return에 쓴 건 바벨{}로 쓰면 자바스크
목적회원가입 페이지를 통해 컴포넌트 간 값을 넘겨받는 것과,조건부 렌더링을 위한 로직을 이해하기이전 시간에 custom Hook을 살펴보았다. 이는 여러개의 변수의 입력 및 반복되는 것을 하나로 줄일 수 있게 해준다. 이를 여러개의 인풋을 받는 회원가입 페이지를 통해
을 열어달라고 하는 역할임.npm run buildnpm next build(실제 원 구문)npm run build가 되는 이유: package.json에서 npm run build가능하게금 했기 때문 😕빈 파일이 있으면 오류가 생길 수 있다. 😕잘못된 코드를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