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tnami WAMP stack 8.0.10 설치: https://bitnami.com/stack/wamp
Bitnami는 개발 스택용 소프트웨어 패키지 설치 라이브러리다.
사실 여느 라이브러리의 존재 이유가 그렇듯, 편하기 때문이다. 가장 흔한 웹개발 스택 조합인 LAMP(Linux+Apache+MySQL+PHP)의 설치 방법을 예로 들어보자. LAMP의 설치 방식은 대표적으로 3가지가 있다.
우선 1번은 시간이 굉장히 오래 걸리고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2번은 비교적 간편하지만 여전히 패키지별로 따로 코드를 작성하긴 해야 한다. 반면 3번의 일종인 Bitnami는 그냥 클릭 클릭하면 알아서 홈서버가 구축된다. 나는 윈도우 운영체제를 쓰기 때문에 WAMP로 다운을 받았다.
설치 후 주소창에 127.0.0.1을 입력하여 홈서버가 잘 구축되었는지 확인한다.
LG U+ 포트포워딩: http://www.codns.com/b/B10-70
나 혼자 가지고 놀거면 홈서버 구축의 이유가 없어지니 포트포워딩을 통해 외부에서 접속을 시도해본다. 과정은 아래와 같다.
cmd창에 ipconfig
명령어를 입력하고 내부IP 주소를 확인한다.
내부IP는 아래와 같은 범위를 사용하기로 약속되어 있다. 보통 가정집은 기기가 그렇게 많진 않으므로 범위가 적은 192.168~를 내부IP 주소로 사용할 것이다.
범위 | 주소 수 |
---|---|
10.0.0.0 - 10.255.255.255 | 16,777,216 |
172.16.0.0 - 172.31.255.255 | 1,048,576 |
192.168.0.0 - 192.168.255.255 | 65536 |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게이트웨이 주소를 입력해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 접속, 로그인한다.
NAT설정 > 포트포워딩 메뉴로 이동.
외부에서 접속할 서비스 포트는 원하는 숫자로 설정(1234), 내부 포트는 bitnami 설치 시 apache2 포트 번호로 설정된 80을 입력한다. 내부 IP주소는 노트북의 내부 IP주소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른다.
스마트폰 5G를 켜고 주소창에 외부 IP주소:서비스 포트번호/index.php
를 입력해 접속해서 아래와 같이 뜨면 성공이다.